[사진출처 : 위키피디아 ,언스플레쉬,픽셀스]
시선뉴스=박대명Proㅣ
◀MC MENT▶
나무들이 옷을 갈아입는 시간 가을. 우리나라는 산이 많아 평균적으로 10월 초부터 전국이 형형색색 아름답게 물듭니다. 그런데 올해는 늦더위가 기승을 부린 탓에 10월 16일 경북 청송 주왕산을 시작으로 점차 전국적으로 단풍을 볼 수 있게 됐습니다. 예측 오차 범위가 7~10일인 점을 고려하면 예년에 비해 단풍을 조금 늦게 구경할 수 있게 된 겁니다. 오늘은 뻔하지 않은! 단풍에 관한 이야기를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사진출처 : 위키피디아 ,언스플레쉬,픽셀스]](https://cdn.sisunnews.co.kr/news/photo/202411/218101_431419_574.jpg)
◀NA▶
‘단풍’은 기후 변화로 인해 식물의 잎이 붉은빛이나 누런빛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나뭇잎이 더 이상 활동하지 않게 되며 나타납니다. 잎이 활동을 멈추면 그 안에서 광합성을 하던 엽록소가 분해되는데요, 이 자리에 생겨난 안토시아닌 때문에 붉은색 또는 갈색 계열의 단풍이 들게 됩니다.
노란빛의 단풍은 안토시아닌이 생성되지 않는 종에서 나타납니다. 이 종들은 초봄 새싹 때 노란빛을 띠는 카로티노이드라는 색소를 만드는 데, 카로티노이드는 여름에 엽록소의 녹색에 가려져 있다가 가을에 엽록소의 분해와 함께 표면에 나타나게 되고, 그렇게 노란빛의 단풍이 만들어집니다.
![[사진출처 : 위키피디아 ,언스플레쉬,픽셀스]](https://cdn.sisunnews.co.kr/news/photo/202411/218101_431420_5724.jpg)
◀MC MENT▶
단풍이 예쁘게 드는 장소와 날씨가 따로 있다는 사실, 혹시 알고 계셨나요? 단풍은 건조하고 일조량이 많은 가을 날씨가 얼마나 지속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밝은 햇살과 건조한 날씨가 나무 수액에 당분 농도를 증가시켜 붉은색의 안토시아닌을 많이 생성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또 일교차가 큰 산악지방, 강수량이 적은 지방, 일조량이 많은 양지에 더 밝고 고운 단풍이 듭니다.
![[사진출처 : 위키피디아 ,언스플레쉬,픽셀스]](https://cdn.sisunnews.co.kr/news/photo/202411/218101_431421_5740.jpg)
◀NA▶
한편 ‘단풍’하면 떠오르는 나라가 있습니다. 단풍잎을 넣은 국기를 가진 나라, 바로 캐나다입니다. 캐나다는 1867년 영령북미법에 의거해 탄생한 나라인데요. 이후 캐나다는 1964년까지 ‘캐나다 붉은 국기’(Canadian Red Ensign)를 사용했습니다. 이는 왼쪽에 영국 국기 유니언잭(Union Jack)을 넣고 중간에 캐나다 국가 문장(Arms of Canada)을 배치한 것입니다.
![[사진출처 : 위키피디아 ,언스플레쉬,픽셀스]](https://cdn.sisunnews.co.kr/news/photo/202411/218101_431422_5756.jpg)
하지만 1956년 당시 외무장관이었던 레스터 피어슨(Lester Pearson 1897~1972)이 수에즈 위기(Suez Crisis)를 해결하기 위해 나섰다가, 중립국인 캐나다 국기에 영국기가 삽입된 점 때문에 곤혹을 치르게 됩니다. 이후 1963년 총선에서 캐나다 총리 자리에 오른 피어슨은 영연방의 일원이지만 독립국으로서 국제사회의 위상에 어울리는 국기를 갖는 것이 시급하다고 판단해, 이듬해인 1964년 국민 공모를 받기 시작합니다.
이때 캐나다의 자연과 환경, 영국이 캐나다를 점령한 후에도 남아 있는 프랑스계 캐나다인을 상징하는 ‘단풍잎’이 그려진 현재의 국기가 채택되었고, 1965년 2월 15일 엘리자베스 2세의 승인을 받아 정식으로 채택되었습니다.
![[사진출처 : 위키피디아 ,언스플레쉬,픽셀스]](https://cdn.sisunnews.co.kr/news/photo/202411/218101_431423_5816.jpg)
◀MC MENT▶
단풍은 캐나다에 또 다른 선물을 주었습니다. 특정 품종의 단풍나무 수액을 가공하면 캐나다인을 비롯해 전 세계에서 사랑받는 ‘메이플 시럽’을 얻을 수 있는데요. 진하면서도 달콤 쌉싸름한 맛이 일품인 이 시럽은 캐나다인의 아침 식사에 필수템으로 여겨지며 시럽을 사용한 다양한 요리와 문화를 만들어주기도 합니다. 네, 지금까지 단풍에 관해 알아두면 재미있는 이야기들이었습니다!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
- 알래스카 강의 색깔 변화...지구온난화로 인한 ‘산화변색’ [네이처TV]
- 지구상 가장 단단한 물질 ‘다이아몬드’...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을까? [네이처TV]
- 몸의 ‘닭살’ 춥거나 무서울 때 반응하는 이유 [네이처TV]
- 뜨거운 감자! 동물도 인간처럼 ‘인격권’을 인정받을 수 있을까? [네이처TV]
- 행운을 부르는 ‘탄생석’, 12가지 보석의 비밀 [네이처TV]
- 검은 금이라 불리는 ‘석유’...아스팔트와 껌, 화장품에도? [네이처TV]
- 식물에서 나오는 물질 ‘피톤치드’는 어떠 역할을 할까 [네이처TV]
- 화성은 ‘제2의 지구’? 화성에 살기 위한 연구들 [네이처TV]
- 독특한 특징으로 무장한 화려한 ‘홍학’...홍학이 붉은 이유는? [네이처TV]
-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는 ‘동굴’의 형성 과정 살펴보기 [네이처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