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기대 수명이 길어지면서 은퇴 이후 생을 마감하는 시간까지의 노후생활 기간 역시 함께 길어졌다. 많든 적든 우리의 생활은 ‘돈’으로 굴러갈 수밖에 없기에, 이 노후 생활 기간 동안 소요되는 비용에 대한 걱정도 덩달아 커진 상황. 따라서 저마다 은퇴자금 마련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은퇴자금 마련에 최적화한 새 투자상품”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출시한 '디딤펀드’에 관심이 모이고 있다.
디딤펀드는 종전의 자산 배분 펀드를 은퇴 대비 용도로 재편한 금융투자 업계 공통 상품으로, 브랜드명의 '디딤'은 은퇴 준비의 탄탄한 '디딤돌'이 되겠다는 뜻에서 따왔다. 디딤펀드는 주식 등 수익성 종목과 국고채 등 안전 자산에 나눠 투자하는 구조로, 예·적금 같은 원금보장 상품보다 수익성이 낫지만, TDF나 상장지수펀드(ETF)보다는 안정지향적 성격을 띤다.

올해 9월 말 자산운용사 25곳이 '1사 1펀드' 원칙에 따라 출시한 '디딤펀드'가 발매 뒤 첫 한 달 동안 285억원의 자금을 모은 것으로 나타났다. 펀드당 평균 유입액은 종전의 대표 노후자금 상품인 타깃데이트펀드(TDF)의 절반에 달했다. 인지도 등의 열세를 고려할 때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13일 펀드평가사인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디딤펀드 25개의 10월 한 달 사이 신규 운용설정액은 총 285억200만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TDF 173개의 설정액은 총 3천901억400만원이 늘었다. 1개 펀드당 평균 유입액은 디딤펀드가 11억4천만원, TDF는 22억5천500만원으로, 디딤펀드가 TDF의 약 51% 수준이었다.
한 달간 유입액이 가장 많았던 디딤펀드는 흥국자산운용의 '흥국디딤연금플러스'(200억8천100만원)였다. '신한디딤글로벌EMP'(28억6천600만원), '이스트스프링디딤글로벌리더스40'(18억9천600만원), '삼성디딤밀당다람쥐글로벌EMP'(9억8천100만원)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출시 초기의 불리한 여건에서도 디딤펀드가 선방했다는 평이 나오는 이유. 최대 경쟁 상품인 TDF는 2011년 국내 도입돼 인지도가 훨씬 높고, 퇴직연금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에 포함돼 자금 유치가 훨씬 더 유리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디폴트옵션은 퇴직연금 가입자가 별도 운용지시를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적용되는 투자 상품 패키지를 뜻한다. 다만 디딤펀드는 운용 기록이 적어 디폴트옵션에 들어간 사례가 아직 없다.
한편, 디딤펀드 보급에 대한 우려도 적잖다. TDF 등과 비교해 상품 차별점이 뚜렷하지 않고 퇴직연금을 많이 다루는 은행에서는 펀드 판매가 아직 활성화하지 않아 흥행 부진에 빠질 공산이 있다는 것이다. 은행은 증권사와 달리 펀드 라인업(상품군)의 업데이트가 보수적이고 늦어 디딤펀드가 대거 진입하기까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아울러 이번 달 설정액이 가장 많이 는 흥국자산운용 디딤펀드의 경우 해당 유입액 대다수가 계열사의 '시딩 투자'(펀드 운용을 돕는 초기 투자)라 판매 추이를 더 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은퇴자금 마련에 최적화한 새 투자상품 '디딤펀드’. 은퇴 후 노후를 준비하는 연금 상품은 '반짝 실적'보다 꾸준함이 더 중요한 만큼 상품의 특성을 잘 이해한 후 접근하는 것이 좋다. 현재까지 분위기상 디딤펀드가 잘 안착하면 디폴트옵션 포함도 무난히 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앞으로 상황을 더 잘 지켜봐야 한다는 평이 이어지고 있다.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
- AI로 완성한 ‘비틀즈’ 완전체 하모니 ‘Now And Then’...영원한 ‘그들’ [지식용어]
-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 곳곳에 제정된 ‘김치의 날’...K-푸드 가치 드높인다 [지식용어]
- 각자의 개성에 맞추는 ‘토핑경제’...점점 다양해지는 ‘꾸미기’ 품목 [지식용어]
- 알코올 도수 낮춰 생산 원가를 절감하는 ‘드링크플레이션’ [지식용어]
- 갑자기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투렛증후군’...운동틱·음성틱 동반돼 [지식용어]
- 일론 머스크가 이끌 ‘정부효율부’...트럼프 2기 신설부서 [지식용어]
- 일본의 버블 붕괴 ‘잃어버린 30년’...롱텀디플레이션의 늪 [지식용어]
- 한 번에 6가지 예방하는 ‘6가 혼합백신’...내년부터 무료접종 [지식용어]
- 중국 무비자 ‘상호주의’ 원칙 아닌 ‘일방적’ 무비자 정책의 목적은? [지식용어]
- “‘서울의 봄’에 오점 남지 않길”...정우성에 쏟아진 응원과 비난 [지식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