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선뉴스=박진아 기자 / 디자인=김선희 proㅣ계절에 관계 없이 거주지를 옮기지 않는, 터를 잡고 살아가는 새를 ‘텃새’라고 하고, 여름이나 겨울에 찾아오는 새를 철새라고 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기후가 변하면서 우리나라를 떠나지 않고 텃새가 되는 철새들도 많아지고 있다. 우리와 함께 터를 잡고 살아가는 한국의 텃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또 지구 한바퀴를 돌아 계절을 잊고 우리에게 정착한 여름 철새들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한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텃새는 참새, 까치, 까마귀, 멧비둘기(비둘기) 등이 있다. 텃새 중에는 떠돌이새가 있는데, 동절기에 산 아래로 내려갔다 하절기에 올라가는 새 등을 지칭한다.
그런 종류에는 딱따구리, 동박새, 부엉이 등이 있다. 서식지는 크게 산림, 마을, 하천으로 나눌 수 있다. 산림에 사는 철새로는 오목눈이, 황조롱이, 꿩, 수리부엉이, 매, 동박새 등이 있고, 마을은 까치, 집비둘기 찌르레기, 박새 등이 있다.
여기서 까마귀와 딱새, 직박구리는 산림에도 마을에도 모두 사는 철새들이다. 마지막으로 하천에 사는 철새로는 괭이갈매기, 청둥오리, 원앙, 물닭, 왜가리 등이 있다. 그런데 기후가 변하면서 우리나라를 떠나지 않고 텃새가 되는 철새들도 많다고 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철새의 텃새화’가 어민들의 생계를 위협하고 있는 것.
피해가 점차 커지고 있어서 대책이 필요하지만 아직까지 현실성 있는 대책이 마련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어떤 철새들이 어떤 피해를 주고 있는 것일까. 어민들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철새 중 하나는 가마우지다. 민물 가마우지는 약 1m에 달하는 크기의 검정몸짓의 새 인데, 원래는 겨울 철새인데 최근에는 텃새로 변하면서 개체 수가 급증하면서 가마우지가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가마우지 서식지 중 한 곳인 대전 대청호의 거북섬은 전체가 하얗게 변했다. 가마우지의 배설물 때문인데, 요산성분이 많은 가마우지의 배설물은 백화현상을 일으키고 이로인해 나무와 풀은 죽고 토양까지 황폐해진다.
결국 시는 지난해 총기 포획을 결정하게 된다. 가마우지 한 마리는 하루에 최대 7kg의 물고기를 먹는 대식가인데, 수백 마리가 무리 지어 살고 있고, 최근에 급격히 늘어난 개체수로 더 문제가 되었다. 또 농가에 피해를 주는 텃새화가 된 철새들도 있다. 농가에 손해를 끼치는 조류는 주로 오리류인데, 낙동강하구에코센터 생태모니터링 결과 대표적인 겨울 철새로 분류됐던 흰뺨검둥오리, 청둥오리, 청머리오리, 물닭 등은 이미 수년 전부터 낙동강 하구에 머무르는 기간이 길어져 텃새화했다. 이들은 모내기를 갓 마무리한 논에 날아들어 먹이 활동을 하며 뿌리가 온전히 내리지 않은 모를 뽑아 손해를 끼치고 있다.
철새의 텃새화는 단순히 서식 환경의 변화만을 뜻하지 않는다. 철새가 목격되는 계절이 바뀌었다는 것은 기후변화가 우리 생각보다 아주 멀리, 그만큼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온혈동물인 조류는 미세한 기온 변화에 크게 좌우받지 않는 동물임에도, 그들이 서직시를 옮겼기 때문이다. 농가와 어민에 더 이상 피해가 커지지 않도록, 또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한 모두의 노력이 절실할 것 같다.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
- [카드뉴스] ‘미국 우선주의’ 트럼프가 눈독 들이는 덴마크·캐나다
- [카드뉴스] 황달·영아산통 등 신생아에게 자주 나타나는 질환들은?
- [카드뉴스] 초보자들이 꼭 알아야 할 골프상식 #용어부터 방법까지
- [카드뉴스] 국제공항 8개 국내공항 7개...'콘크리트 둔덕' 등 사고 요소 사라져야
- [카드뉴스] 우후죽순 생겨나는 성소수자 콘텐츠, 어디서 어떻게 그려질까?
- [카드뉴스] 초등학교 입학 전, ‘규칙’ ‘공동’ ‘시간’ 미리 준비해야 할 것들
- [카드뉴스] 한결 쉬워진 해외 여행...‘여행자보험’ 가입 시 주의할 점
- [카드뉴스] 각국의 청소년 SNS 금지법...인스타그램은 ‘10대 계정’ 적용
- [카드뉴스] 정치적 소신 드러내는 연예인 ‘폴리테이너’...진실과 정의 위에 바로 서야
- [카드뉴스] 새로운 공포 장르 시도! 섬뜩함 선사한 영화 ‘인비저블 맨’
- [카드뉴스] 겨울철 전기자동차를 잘 관리하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