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지난 2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업무공백으로 응급실 대란을 둘러싼 우려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 특히 정부가 응급실 인력지원 대책을 내놨지만 현장에서는 이미 운영을 일부 중단했거나, 중단을 검토하는 병원이 지속해서 나오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업무공백 후 누적된 응급실 의료진의 피로가 상당한 데다 배후진료마저 원활하지 않은 탓에 빠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배후진료는 응급실에서 처치한 환자를 병원 내에서 후속 진료하거나 수술하는 것을 말한다. 수도권의 많은 전문의들은 최근 논란이 되는 '응급실 뺑뺑이'의 핵심 원인은 배후진료 차질에 있다고 토로한다. 응급실 인력 부족도 문제지만, 응급실에서 처치한 환자를 병원 내에서 후속 진료하거나 수술할 의사가 없는 게 현 사태의 핵심이라는 것.

예를 들어 중증 외상 환자가 응급실에 방문하면 응급의학과 의사뿐만 아니라 수술을 할 수 있는 외과 의사가 있어야 하고, 심근경색 환자가 내원하면 심장내과 또는 흉부외과 의사가 있어야만 환자에 적절한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지난 2월 전공의들의 집단사직 이후 병원 내 인력이 급감하고, 각 진료과목 교수와 전임의들도 과중한 업무에 시달리다 보니 최근에는 응급실 내원 환자에 대한 후속 진료가 원활히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응급실에 병상이 있어도 환자를 받을 수 없는 이유다.

수도권의 한 전문의 A씨는 "외상 환자가 들어온다고 가정하면 응급실에서 처치 후 결국 외과 수술과 입원 등으로 이어져야 하는데, 지금은 배후진료가 안 되니까 환자를 못 받는 것"이라며 "응급실 의사들이 힘들어서 환자를 안 받는 게 아니다. 배후진료 역량과 시스템을 갖춰야만 응급실에서 환자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응급실 인력 부족과 저수가는 장기적으로 접근해 해결해야 할 문제이고 당장 환자를 받을 수 없는 건 배후진료 부족인데, 정부가 그저 외면하고 있다고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배후진료가 다 무너져 있는데 응급실에 환자 받으라고 하는 게 말이 되느냐"고 목소리를 높이며 "그저 응급실에 환자를 받으라는 건 뺑뺑이 논란과 여론을 잠재우기 위한 수단일 뿐이지 전혀 실효성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 정부는 응급실에 관해서만 얘기를 하고 사실상 배후진료의 역량을 어떻게 확보할지에 대한 대책은 손을 놓은 것 같다"며 뚜렷한 해결 방안이 보이지 않는다고 난색을 표했다. 

실제로 단순히 당직 병원을 늘리고, 응급실에 환자를 배정하는 단순한 해법으로는 현 사태를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 의료계의 중론이다. 응급실 인프라와 인력 확충, 인건비 지원 등도 중요하지만 결국 환자가 진료와 수술을 받고 입원에 이를 수 있도록 배후 진료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병행돼야만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의료계는 응급실이 운영된다고 해서 정상적으로 가동되는 건 아니라고 강조한다.

오랜 기간 이어져 온 응급실 대란. 응급실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각 병원은 환자 불편을 고려해 당장 응급실을 '셧다운'하지는 않고, 진료를 축소하면서 조금 더 버텨본다는 분위기이다. 현장 의료진은 붕괴 직전 응급실을 바라보며 착잡한 심정을 드러내고 있는 한편, 응급의학과 의사들은 과로를 버티지 못하고 떠나고 있으며 최종 치료를 제공해야 할 배후진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응급실이 문을 열고 있다고 해서 모든 의료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평이 이어지고 있는 만큼 배후진료 등 실제 의료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실효성 있는 해법 마련이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