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미래를 바꿀 최첨단 기술 중 하나로 꼽히는 ‘자율주행 자동차’. 현재 다양한 자율주행 기술이 개발되며 실제 소비자를 만나고 있다. 물론 여전히 ‘반’ 자율주행에 머물러 있지만 ‘완전’ 자율주행 기술이 속속 시범대에 오르고 있어 도입이 멀지 않아 보인다. 최근 세계에서도 가장 복잡한 도로의 하나로 손꼽히는 서울 강남 도로에서 첨단교통기술 실증 무대가 펼쳐지고 있다. 

지난달 26일부터 서울 강남 일대에서 국내 최초로 ‘심야 자율주행 택시’가 도로를 달리고 있다. 심야 자율주행 택시는 서울 최초의 차량호출형 서비스인 '서울자율차'로 이날 카카오T에서 첫선을 보였다. 자율주행 기술기업인 에스더블유엠(SWM)과 협업해 평일 심야 시간대 강남구 주요 지하철역(봉은사역·신논현역·양재역·학여울역·구룡역) 사이 구간에서 SWM 자율주행차 3대로 시범 운영된다. 시범 기간 무료로 운영되며 '서울자율차' 아이콘 내에서 '서울자율차 호출하기'를 선택해 이용할 수 있다.

심야 자율주행 택시(서울자율차)는 밤 11시부터 새벽 5시 사이 강남에서 자율주행 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 강남구 역삼·대치·도곡·삼성동과 서초구 서초동 일부 지역으로, 자율주행 택시 3대가 봉은사로·테헤란로·도곡로·남부순환로·개포로·강남대로·논현로·언주로·삼성로·영동대로 일부 구간을 달린다. 면적은 11.7㎢에 달한다. 

이용 방법도 간단하다. 일반 택시를 호출하듯 카카오T를 이용해서 부르면 된다. 출발지와 목적지 모두 자율주행 택시 운행 구역 이내고, 이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 택시가 있으면 앱에서 '서울자율차' 아이콘이 활성화 상태로 나온다. 이를 선택하면 된다. 예를 들어 심야 시간에 논현동에서 대치동으로 갈 때, 강남역에서 선릉역으로 갈 때 앱에서 자율주행 택시를 부르면 된다.

시험운전자 1명이 동승하며 4차로 이상 도로는 자율주행 방식이고, 주택가 이면도로와 어린이보호구역 등지에서는 운전자가 운행한다. 이용 가능 시간은 월요일∼금요일 밤 11시부터 다음 날 새벽 5시까지이며 승객 최대 3명이 탈 수 있다. 다만, 폭우 및 폭설이나 차량 점검 등으로 운행이 중단되면 카카오T 앱에 공지가 뜬다.

자율주행 택시 3대는 개조한 '코란도 이모션'이며 서울시는 고장에 대비해 예비차 2대를 마련했다. 4개의 근접 라이다센서, 4개의 원거리 라이다센서, 10개의 카메라를 통해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시는 처음으로 심야 자율주행 택시를 선보이는 만큼 연말까지 무료 운행하기로 했다. 운행 구간은 내년 상반기 논현·신사·압구정·대치동까지 넓히고 차량 대수도 수요와 택시업계 의견, 자동차 수급 여건 등을 고려해 늘려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내년에는 요금을 받는 방식으로 전환한다.

한편, 상암·청계천·여의도·청와대 인근 등 기존 시범운행지구에서 자율운행 자동차를 타고 싶을 때도 카카오T의 '서울자율차' 메뉴를 눌러 이용할 수 있다. 시는 그동안 수요응답형(상암), 관광형 셔틀(청계천), 자율주행 노선버스(심야·청와대)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자율주행 교통사업을 펼쳐왔다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수요 중심인 택시까지 확대해 대중교통부터 개별 이동까지 폭넓은 분야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선보이게 된 것이다. 

이번 국내 최초 심야 자율택시 운행을 계기로 시민을 위한 미래 교통서비스가 창출되고, 자율주행 기술의 안전한 도입의 기틀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