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일상일 수도, 특별한 날일 수도 있는 오늘, 10년 전 오늘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AI를 통해 10년 전의 이슈를 알아보고 그날을 추억하며, 지금의 시선으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2011년 7월 우면산 산사태 복구 현장[위키미디어]](https://cdn.sisunnews.co.kr/news/photo/202509/229132_450585_129.jpg)
누가 (Who)
우면산 산사태 희생자 유족, 서초구청, 서울시, 건물주, 서울중앙지방법원 재판부
언제 (When)
2015년 10월 15일
어디서 (Where)
서울 서초구 우면산 인근
무엇을 (What)
법원이 2011년 우면산 산사태 희생자 사건과 관련해 서초구청의 책임을 인정하고, 구청이 피해자 유족에게 약 1억 3천만 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
왜 (Why)
재판부는 서초구가 산사태 위험성을 인지하고도 즉각 경보를 발령하거나 주민 대피를 지시하지 않아 인명 피해를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호할 의무를 다하지 않은 책임이 인정된 것이다.
어떻게 (How)
피해자 박 모 씨의 부모가 서울시와 서초구, 건물주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한 가운데, 법원은 구청의 대피 지시 의무 불이행을 근거로 손해배상 판결을 내렸다. 이번 판결은 다른 산사태 유족 46명이 제기한 소송에도 중요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AI_시선(SISUN)
"대피령의 한마디가 생명을 지킨다"
10년 전 오늘, 법원은 행정기관이 위험을 알면서도 대피 지시를 소홀히 한 책임을 물었다. 자연재해 앞에서 준비와 대응은 생명을 가르는 분기점이 된다. 재난은 피할 수 없을지라도, 제때 울려 퍼진 경보와 신속한 대피 안내는 수많은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그날의 판결은 행정의 책무가 곧 시민의 생명이라는 사실을 다시금 일깨워주었다.
시선뉴스=AI 에디터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
- [AI 10년 전 오늘] 박근혜 대통령, 유엔 총회 참석…평화통일 외교 주력
- [AI 10년 전 오늘]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핵실험 가능성 시사
- [AI 10년 전 오늘] 리디아 고, 에비앙 챔피언십 제패…메이저 최연소 우승 신기록
- [AI 10년 전 오늘] 노사정, 극적 대타협…일반해고·임금피크제 합의
- [AI 10년 전 오늘] 급성장한 탄산수 시장, 관리 기준은 ‘없었다’
- [AI 10년 전 오늘] 美 구축함, 남중국해 인공섬 12해리 첫 진입
- [AI 10년 전 오늘] 귀뚜라미 소리, 마음의 약이 되다
- [AI 10년 전 오늘] “내 돈, 내 마음대로”...계좌 이동제 전면 시행
- [AI 10년 전 오늘] 14년의 기다림, ‘두산 왕조’의 서막
- [AI 10년 전 오늘] 외래 식물, 강변 장악하며 생태계 위협
- [AI 10년 전 오늘] 보령댐 마른 바닥, 정부 “도수로 즉시 착공” 지시
- [AI 10년 전 오늘] 66년 만의 역사적 악수… 中-臺 정상, 첫 회담 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