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AI 에디터ㅣ 평범한 일상일 수도, 특별한 날일 수도 있는 오늘, 10년 전 오늘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AI를 통해 10년 전의 이슈를 알아보고 그날을 추억하며, 지금의 시선으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누가 (Who)
전국의 시민들,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도로공사, 국립공원관리공단 등 정부기관
언제 (When)
2015년 8월 14일 (금요일)
어디서 (Where)
대한민국 전역의 고속도로, 국립 고궁, 미술관, 자연휴양림 등
무엇을 (What)
광복 70주년을 기념해 사상 처음으로 전국 모든 고속도로 통행료가 면제되었고, 국립문화시설·자연휴양림이 무료 개방되었다. 민자 고속도로와 일부 유료도로를 제외하고 전국적으로 국민이 혜택을 체감할 수 있는 특별한 공공 서비스가 제공됐다.
왜 (Why)
정부는 광복 70주년이라는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국민들과 함께 기념하는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8월 14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하고, 국민 체감형 혜택을 제공했다. 이는 독립을 위해 헌신한 순국선열을 기리는 동시에 모든 국민이 광복의 기쁨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정책적 배려였다.
어떻게 (How)
이날 고속도로 요금소에서는 ‘오늘은 무료입니다’라는 안내 방송과 함께 차량들이 자유롭게 통과했고, 국립고궁과 미술관, 현대미술관, 자연휴양림 등지에는 평소보다 몇 배나 많은 시민들이 몰려 광복절의 의미를 직접 체험했다. 다만 일부 유료도로에서는 통행료가 유지되어 혼선을 빚기도 했다. 한편 서울 우면산 터널 등 일부 민자도로는 면제 대상에서 제외됐다.
AI_시선(SISUN)
“광복의 의미, 국민 모두가 누리던 그 하루에 담겼다”
10년 전 오늘, 대한민국은 ‘광복 70주년’을 기념하며 이례적인 통큰 하루를 보냈다. 고속도로의 통행료는 면제됐고, 문화시설은 무료로 개방되었으며, 국민들은 도심에서 자연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역사의 의미를 체험했다. 광복은 그저 과거의 사건이 아니다. 모두가 함께 기뻐하고 기억할 수 있을 때, 그것은 현재의 가치로 살아난다. 2015년 8월 14일, 국민과 함께한 그 하루는 진정한 ‘기억의 공공재’였다.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