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양원민 기자ㅣ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발전하는 인공지능(AI)에 범인공지능(AGI) 시대가 멀지 않았다는 게 느껴진다. 이미 많은 분야에서는 AI를 도입해 활용하고 있으며, 우리의 일상도 챗GPT의 등장 전후로 많이 달라진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전 세계가 AI에 열광하고 있는 가운데 경쟁 구도를 뒤흔들며 떠오른 AI 기업이 있다. 바로 중국의 ‘딥시크’(Deepseek)다.

‘딥시크’는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AI 스타트업 기업으로, 미국과 중국이 인공지능(AI) 패권을 놓고 경쟁을 벌이는 가운데 미국의 수출규제 속에도 저렴한 비용으로 빅테크에 필적하는 성능을 가진 AI 모델을 만들어 업계 안팎에 큰 충격을 준 기업이다.

딥시크가 지난해 말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자사 AI 모델 ‘딥시크-V3’는 엔비디아에서 수출용으로 따로 만든 저사양 칩을 활용했고, 훈련 비용도 600만달러 이하로 메타 등 미국 거대 IT기업의 최신 AI모델 훈련에 사용된 비용의 10분의 1 수준이었다. 지난달 공개된 AI 모델 ‘R1’도 빅테크 대비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됐으며, 오픈소스 방식을 채택해 누구나 자유롭게 기본 코드 등을 바꿀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기도 했다.

분명 적은 비용이 들었지만, 딥시크의 AI 앱은 그 성능이 오픈AI와 구글 등 미국 기업의 AI 앱에 필적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에 딥시크 앱은 미국 앱스토어에서 오픈AI의 챗GPT를 제치고 다운로드 순위 1위에 올라 관련 업계에 파장을 일으키기도 했다.

이렇듯 세계에 적잖은 충격을 주며 등장한 딥시크지만, 딥시크 앱 사용은 중국 정부로의 정보·데이터 유출이 우려되고,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 정보 등을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딥시크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에는 AI 모델 학습 등을 위해 사용자의 생년월일과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비밀번호 등을 수집한다고 고시됐으며, 이용자들이 입력한 키보드 패턴, 오디오, 파일, 채팅 기록과 다른 콘텐츠를 수집하고 회사 재량에 따라 해당 정보를 법 집행기관 및 공공 기관과 공유할 수 있다고 명시돼 있다. 딥시크는 ‘이렇게 수집한 정보를 중국에 있는 안전한 서버에 저장한다’고 밝혔으며, 이와 관련한 분쟁은 중국 정부 법률의 적용을 받는다고 덧붙였다.

정보·데이터 유출 우려가 이어지자, 세계 각국에서는 딥시크의 AI 앱 이용을 금지하거나 이용 자제를 권고하고 나섰다. 미국, 이탈리아, 호주, 대만 등지에서는 딥시크 서비스 이용 금지령을 내렸고, 영국과 프랑스에선 딥시크에 질의서를 보내거나 내부 검토를 통해 규제 필요성을 따져보고 있다. 우리나라도 정부 기관, 금융권·증권가, 각 지자체 등에서 이달 초 딥시크를 차단하고 나섰다. 

또 일각에서는 분명 딥시크는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굴러온 돌’이지만, “판을 흔들 정도는 아니다”라며 딥시크의 성공을 높게 사지 않는 시각도 있다. 미 경제 매체 CNBC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CEO)는 딥시크가 “아마도 중국에서 나온 최고의 작품이겠지만 새로운 과학적 진보는 없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여러 우려와 다양한 평가에도 딥시크는 AGI 부문 인재를 공격적으로 모으며 앞만 보고 달려가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딥시크는 지난 주말에 데이터 전문가, 딥러닝 연구원, 법률 담당 최고 책임자 등 6명 이상의 AGI 관련 인력 구인 광고를 냈다. 딥시크는 일당이 70달러(약 10만원)인 인턴도 모집하며 AI 학회에서 논문을 발표했거나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우 우선 채용할 계획이다.

평가가 어떻든 ‘딥시크’는 ‘뜨거운 감자’인 AI 업계에 새로운 가능성을 보이며 큰 파장을 일으켰고, 다음 스텝을 밟아 나가고 있다. 첫 등장부터 화려했던 딥시크이기에 이후 행보에도 관련 종사자들의 귀추가 주목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