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생태계와 함께 밀접한 관계를 이루며 살아 온 인류. 인간이 대자연 속에서 아름답고 건강하게 공존하기 위해 알아야 할 생태계 관련 정책을 보기 쉽게 모았습니다. <2024년 08월 넷째 주 생태계 정책브리핑>
● 농림축산식품부
- 럼피스킨 및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추가 확산 차단을 위해 총력 대응
럼피스킨 가축질병방역대책본부는 전국 모든 소 사육 농장을 대상으로 발생 상황을 전파하고 농장 소독 및 매개곤충 방제 등 방역수칙을 집중 홍보하고 있으며, 시군구별로 소독·예찰 및 매개곤충 방제조치를 포함하는 「럼피스킨 특별 방역관리 방안」을 수립하여 추진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경우, 중수본은 전국 모든 돼지농장을 대상으로 발생 상황을 전파하고 농장 소독 등 차단방역 수칙을 집중적으로 홍보하고 있으며, 경북 모든 농장에 대하여 도축장 출하 등 돼지 이동 시 임상·정밀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럼피스킨은 주로 매개곤충을 통해 전파되는 특성상 광범위한 지역에 급속하게 전파될 우려가 있으므로 경기도뿐만 아니라 전국 모든 지자체가 경각심을 갖고 백신접종과 매개곤충 방제 등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리고 농가들은 럼피스킨 의심 증상 발견 시 즉시 방역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아울러 올해 경북지역에서는 아프리카돼지열병에 감염된 야생 멧돼지가 다수 발견되고 있고, 아프리카돼지열병 감염 농장도 경북지역에서만 5건이 발생하는 등 위험성이 매우 높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일부 돼지농장의 방역 수준이 아직 미흡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지자체에서는 온정주의에 얽매여 형식적인 점검에 그치지 않도록 꼼꼼히 점검하여 미흡한 사항에 대해서는 엄중하게 조치해야 한다.
한편, 8월 중순 이후 소고기와 돼지고기 공급 여건은 추석 성수기 수급에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며, 이번 럼피스킨 발생농장의 소 살처분 마릿수는 전체의 0.0001% 수준(343만 마리 중 6마리)이고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농장의 돼지 사육 마릿수는 전체의 0.01% 수준(1,201만 마리 중 1,490여 마리)으로 추가 확산이 없을 경우 살처분이 국내 소고기 및 돼지고기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 환경부
- 지리산 천왕봉 밑에서 일제 독립 염원하며 바위에 새긴 글씨 발견
지리산의 힘을 빌어 일제를 물리치고자 하는 의병의 염원을 새긴 바위글씨(石刻)를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 바로 아래에 위치한 바위에서 발견했다. 이 바위글씨는 권상순 의병장의 후손이 2021년도 9월에 발견하고 국립공원공단에 지난해 11월에 조사를 요청해 확인된 것이다. 권상순(1876~1931) 의병장은 경남 합천에서 태어났으며, 1894년 전후로 지리산에 들어와 의병을 조직하고 훈련을 시키고 일제에 대항하기 위한 방법을 찾기 위해 노력했었다는 구전이 전해진다.
조사 결과, 자연석 바위에 전체 폭 4.2m, 높이 1.9m의 크기로 392여자가 새겨졌으며, 전국의 국립공원에서 확인된 근대 이전의 바위글씨(194개 추정) 중 가장 높은 지대에 위치(해발 1,900m대)해 있고 글자수도 가장 많았다. 연구진은 이 바위글씨의 글자가 마모되어 전체를 온전히 파악하기 어려워 자체 조사자료를 한국선비문화연구원 최석기 부원장과 한학자 이창호 선생에게 의뢰하여 그 내용을 판독했다. 판독 결과, 이 바위글씨는 구한말 문인 묵희(墨熙, 1875~1942)가 지은 것으로 1924년 지리산 천왕봉 밑의 바위에 새겨진 것으로 확인됐다.
● 해양수산부
- 충북 보은에 송어류·연어류 양식 산업화센터 생긴다
송어류 및 연어류 내수면 양식 산업화센터 조성 사업자로 충청북도 보은군을 선정했다. 이번에 사업자로 선정된 충북 보은군은 서울, 대전, 세종 등 인접 대도시와 생활권을 공유하고 접근성이 우수하여 송어류·연어류의 유통·판매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점이 고려되었다. 또한 충청북도 내수면산업연구소와 양식기술 공유체계 및 특허 기술을 가진 민간 기업과의 협력체계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보은군은 올해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를 착수하고, 2026년까지 총 사업비 198억 원(국비 59억 원)을 투입하여 내수면 양식 산업화센터를 구축할 예정이다. 송어류·연어류 내수면 양식 산업화센터가 건립되면 훈연제품, 밀키트 등 다양한 상품이 개발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각 부처의 홈페이지 또는 문의처에 유선 연락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
- 2024년 08월 둘째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
- 2024년 08월 첫째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
- 2024년 07월 마지막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
- 2024년 07월 셋째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
- 2024년 07월 둘째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
- 2024년 09월 첫째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
- 2024년 09월 둘째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
- 2024년 09월 셋째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
- 2024년 09월 넷째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
- 2024년 09월 마지막 주 생태계 관련 정책 CHECK! [정책브리핑, 네이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