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정혜인 기자ㅣ지난 4월, 일본 정부가 지난해 11월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라인’의 개인 정보 유출을 이유로 네이버에 라인 지분 매각을 거듭 압박한 사실이 알려졌다. 일명 라인야후 사태에 전문가들은 ‘IT 후진국’이라 불리는 일본이 라인을 확보해 돌파구를 마련하려 한 것이라 분석했다. 그렇다면 일본은 왜 IT 후진국 또는 디지털 후진국으로 불리고 있을까.

첫 번째, 과거 사이버 장관의 발언

[사진/Pxhere]
[사진/Pxhere]

일본의 디지털 낙후성은 몇 차례 드러난 바 있다. 과거 일본의 사이버 보안을 담당하는 장관이 자질이 의심되는 발언을 해 논란이 되었다. 지난 2018년, 사이버 안보부 장관이던 사쿠라다 요시타카는 “직원들과 비서에게 지시를 내리기 때문에 직접 컴퓨터를 만진 적이 없다”고 말했다. 사이버 보안 기본법 개정 추진도 그의 업무였기에 비난을 피할 수 없었다.

그는 원자력발전소 사이버 보안 대책에 대한 질문에는 “자세한 것은 잘 모른다”고 답했다. 그러면서도 사이버 보안 대책은 중요하다고 말했기에 해당 질문을 던진 의원은 “‘잘 모르지만 괜찮을 게 분명하다’는 답변으로 들린다”고 의문스러움을 표했다. 당시 영국 더 가디언은 “만약 해커가 사쿠라다를 겨냥해 해킹해도 아무런 정보를 캐내지 못할 것이다”라고 비아냥거렸다.

두 번째, 아날로그식 행정

[사진/Pxhere]
[사진/Pxhere]

일본은 또 오랫동안 아날로그식 행정을 고수해 왔다. 우리나라에서는 ‘터치패드’와 ‘키오스크’가 흔하지만, 일본은 그렇지 않다. 모든 문서는 종이로, 장부는 수기로, 서류 처리에는 도장을 사용해 왔다. 따라서 행정 업무는 팩스와 도장에 의존해 있었다.

이 부분은 코로나19로 크게 대두되었다. 재택근무 환경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직장인들은 똑같이 출근길에 올라야 했다. 코로나19 확진자 집계도 수기로 작성해 팩스로 집계했다. 그러다 보니 누락과 중복이 많았고, 재난지원금 지급에도 꽤 긴 시간이 걸렸다. 우편 신청을 받아 일일이 개인정보를 확인해야 했기 때문이다. 이후 2021년 9월에 이르러서야 일본의 디지털청이 개청하며 디지털화를 도모하기 시작했다.

세 번째, 더딘 구식 기술 탈피

[사진/Pxhere]
[사진/Pxhere]

행정 절차에서는 플로피 디스크가 2020년대에도 쓰였다. 플로피 디스크는 1971년 최초로 개발된 컴퓨터 보조 기억 장치의 일종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 말부터 점점 사용이 줄었다. 그런데 2022년 일본에서는 1,900개가 넘는 행정 절차에서 플로피 디스크를 비롯한 구식 기술이 사용되고 있었다. 당시 디지털 장관 고노 타로는 “플로피 디스크, CD, 미니 디스크 등 구식 기술을 단계적으로 폐기하고 행정 절차를 온라인화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플로피 디스크처럼 우리나라에서는 추억의 물품 중 하나인 삐삐. 이것도 일본에서 없어진 지 얼마 되지 않았다. 1990년대에 애용된 무선호출기 삐삐가 일본에서 사라진 건 2019년이었다. 삐삐 제공업체인 도쿄 텔레메시지는 2019년 9월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서비스 중단 당시 일본의 삐삐 가입자는 1,500여 명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일본의 플로피 디스크 사용은 이번 달에 전부 폐지되었고, 최근 일본은 세계 각국과 디지털 동맹을 체결했다. 다만 업계 전문가들은 일본 디지털 기술이 단기간에 선진국 수준이 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을 냈다. 아날로그 문화가 뿌리 깊게 내려 있었기에 디지털 후진국이라는 오명을 벗는 데는 꽤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