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박진아 기자 / 디자인=김선희 proㅣ지난주 한주간의 이슈 Top10입니다. 지난주에는 어떤 키워드들이 이슈가 되었을까요?

1. TV토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으로 27일 열린 대선 후보 간 마지막 TV 토론회장은 네거티브와 비방에 원색적 표현까지 더해지며 진흙탕으로 변질됐다. 주요 정당 후보들이 상대방의 과거 언행과 의혹 등에 대한 공격에 집중하면서 정책 검증이나 진지한 공약 토론은 뒷전으로 밀렸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989)

2. 사전투표
21대 대선 사전투표 첫날인 오늘(29일) 오전 11시 기준 사전투표율이 7%를 기록했다. 사전투표는 30일까지 이틀간 이뤄진다. 투표 시간은 오후 6시까지며, 신분증을 반드시 지참하고 사전투표소를 방문해야 한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046)

3. 이낙연
대선까지 7일을 남겨둔 가운데, 이낙연 새미래민주당 상임고문이 돌연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에 대한 지지를 선언해 파장이 일고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큰 차이로 선두를 달리고 있는 가운데, 이 연대는 어떻게 작용될까.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963)

4. 한은, 금리-경제 성장률 전망 '하향'
29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기준금리를 또 한 번 인하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7개월 사이 네 번째 인하다. 불과 몇 달 전만 해도 “한은이 계속 금리를 내릴 수 있을까”라는 회의론도 있었지만, 결국 선택은 ‘속도감 있는 완화’였다. 한국은행이 왜 금리를 또 내렸는지, 그 배경과 파급 효과, 그리고 우리 국민이 체감하게 될 변화들을 구체적으로 짚어본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054)

5. 교황 착좌식 
레오 14세 교황이 2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로마 시내의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에서 로마 주교좌에 앉는 착좌식을 거행했다. 착좌식은 교황이 세계 가톨릭의 중심이자 로마 교구의 수장임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중요한 의식이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905)

6. 지구온난화 ‘바다’ 
‘이상기후’와 관련된 이슈들이 끊이지 않는 요즘. 전 세계 곳곳에는 대형 산불이 이어졌고, 폭염으로 수백·수천 명이 사망했으며, 지난해 우리나라에는 역대 최장기간의 열대야와 예측할 수 없는 국지성 호우 그리고 한파 등이 이어졌다. 뜨거워지는 지구에 큰 영향을 받는 곳이 또 있는데요. 바로 바다다. 우리가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사이 어떤 변화를 맞고 있는지, 함께 알아본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995)

7. 고윤정
단아하면서도 매혹적인 얼굴, 묘한 눈빛에 걸맞지 않은 강단 있는 연기. 지금 대한민국이 주목하는 배우 고윤정은 단순한 미모 이상의 존재감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종영한 tvN 드라마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이하 ‘언슬전’)에서 인턴 산부인과 레지던트 오이영 역을 맡아 또 한 번 대중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743)

8. 공감각
소리를 들으면 색이 보이고, 글자를 보면 맛이 느껴지는 감각. 누군가에겐 상상에 가까운 이야기지만, 실제로 이러한 경험을 하는 이들이 있다. 바로 ‘공감각(Synesthesia)’이라는 신경학적 현상이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828)

9. 소리로 차 진단하는 법
운전 중 차량에서 들리는 평소와 다른 소리는 단순한 소음이 아니라 기계적 이상을 알리는 경고일 수 있다. ‘끼익’, ‘덜그럭’, ‘웅웅’ 같은 소리는 대부분 운동 부위의 마모, 장력 불균형, 윤활 부족, 체결 불량 등에서 발생한다. 이를 무시하면 고장은 물론 주행 중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5094)

10. 조선의 과학
조선은 실용과 정밀에 기반한 ‘관측하고, 기록하며, 응용하는 과학’을 체계적으로 발전시킨 나라였다. 하늘을 읽고, 시간을 알리며, 땅을 재고, 생명을 다루던 조선의 과학은 오늘날의 기상 시스템, 의료 지식, 지도 정보, 자동화 기술까지 곳곳에 그 흔적이 이어져 있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24958)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