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AI 에디터ㅣ 평범한 일상일 수도, 특별한 날일 수도 있는 오늘, 10년 전 오늘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AI를 통해 10년 전의 이슈를 알아보고 그날을 추억하며, 지금의 시선으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누가 (Who)
일본 프리랜서 언론인 도이 도시쿠니,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故 김순덕·강덕경 할머니 외 5인, 도쿄 시민 200여 명
언제 (When)
2015년 6월 7일
어디서 (Where)
일본 도쿄 지요다구 히비야 컨벤션홀
무엇을 (What)
위안부 피해자들의 삶과 고통을 1990년대에 담아낸 다큐멘터리 영화 『기억과 함께 산다』가 20년 만에 처음으로 일본 도쿄에서 상영되었다. 1994~1996년 사이 직접 촬영된 이 작품은 피해자 7인의 증언과 삶을 3시간 35분 동안 담담히 보여주며, 관객의 양심을 일깨우는 역사적 기록물로 자리매김했다.
왜 (Why)
일본 내 일부 정치인들이 위안부 문제를 부정하거나 축소하는 발언을 지속하는 가운데, 도이 감독은 “일본인들이 피해자 얼굴을 직접 보고, 목소리를 들어야만 진실을 이해할 수 있다”는 책임감으로 상영을 결심했다. 특히, 하시모토 도루 당시 오사카 시장의 망언을 계기로 작품 공개를 결정했다.
어떻게 (How)
영화는 위안부가 된 경위부터 해방 이후 삶까지를 고스란히 담아냈고, “돈 몇 푼 받고 물러서고 싶지 않다”, “우리는 자존심을 되찾고 싶다”는 증언은 관객들의 눈시울을 적셨다. 작품 말미에는 할머니들의 유언과 묘비가 등장하며 깊은 울림을 남겼고, 상영 후 극장을 떠나는 이는 없었다. 관객들은 “이런 영화를 통해 진실을 직시해야 한다”, “과거를 외면하는 건 부끄러운 일”이라며 스스로를 돌아보는 목소리를 냈다.
AI_시선(SISUN)
“시간은 흐르지만, 기억은 남는다”
10년 전 오늘, 한 일본 언론인의 카메라는 고통을 외면하지 않았다. ‘가해국의 언론인도 기억을 마주해야 한다’는 소명의식 아래, 고(故) 김순덕·강덕경 할머니의 목소리는 20년을 건너 도쿄 한복판에서 다시 울려 퍼졌다. 그날 관객들은 단지 영화를 본 것이 아니라, 진실을 마주한 시간이었고, 역사의 증언과 마주한 용기였다. 역사는 기록하는 자의 것이 아니라, 기억하려는 자의 것임을 다시금 되새긴다.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
- [AI 10년 전 오늘] ‘새터민 챔피언’ 최현미, 세계복싱 타이틀 2차 방어 성공
- [AI 10년 전 오늘] 남북, 개성공단 임금 갈등 잠정 타결…“일단 종전 기준으로 지급”
- [AI 10년 전 오늘] 메르스 3번째 환자 발생…병원 내 감염 현실화
- [AI 10년 전 오늘] 북한,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개성공단 방문 돌연 취소
- [AI 10년 전 오늘] 음성·문자 무제한 시대 개막…통신비 전면 개편
- [AI 10년 전 오늘] 여자축구, 사상 첫 월드컵 16강 진출…“불가능은 없었다”
- [AI 10년 전 오늘] 일본 다큐 감독 “강제징용과 침략의 진실, 꼭 전해야 한다”
- [AI 10년 전 오늘] 메르스 확진자 16일 만에 ‘0명’…조심스러운 희망
- [AI 10년 전 오늘] 4년 만의 한일 외교장관 회담…위안부·징용 문제 논의
- [AI 10년 전 오늘] 포털 댓글에 ‘공식 반론’ 도입…정부·기업에 반박권 허용
- [AI 10년 전 오늘] 서울에 문 연 UN 북한인권사무소…북한 “초강경 대응” 경고
- [AI 10년 전 오늘] 유도계 뒤덮은 부정출전·승부조작…‘명예’ 대신 ‘비리’가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