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양원민 기자 / 디자인=김선희 proㅣ전세계를 강타했던 코로나19 팬데믹. 코로나로 인한 여파는 아직 곳곳에 남아있다. 최근엔 코로나 이후 저가 상품의 물가가, 고가 상품보다 더 많이 올랐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비교적 저렴한 상품을 더 많이 구매하는 저소득층의 체감 물가가 더 높을 수밖에 없던 것이다.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칩플레이션’을 알아보자.
칩플레이션은 가격이 낮다는 의미의 ‘칩’(cheap)과 물가 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inflation)의 합성어다. 이 현상은 고물가 시기 저렴한 상품을 주로 소비하는 취약계층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가중됐다는 뜻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국은행(한은)은 지난 18일 보고서를 통해 코로나 이후 칩플레이션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대한상공회의소가 3천여개 조사 대상 판매점의 판매 기록을 저장한 ‘스캐너 데이터’를 이용해 가공식품 상품의 가격 분위별 물가지수를 산출한 결과, 팬데믹 이후 칩플레이션이 발생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은 연구팀은 지난 2019년 평균 가격을 기준으로 동일 품목 내 상품들을 1~4분위로 분류한 뒤 2020년 1월부터 지난해 9월까지 분위별 누적 상승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1분위 저가 상품의 가격 상승률은 16.4%에 달했지만, 4분위 고가 상품의 가격 상승률은 5.6%에 그친 것으로 집계돼 ‘칩플레이션’을 확인했다.
그러면서 칩플레이션이 가계 소득계층 간에 체감 물가(실효 물가)의 격차를 벌려 인플레이션 불평등을 심화하는 요인이 된다고 강조했다. 실제 2019년 4분기~2023년 3분기 중 하위 20% 저소득층의 실효 물가 누적 상승률은 13.0%에 달해 상위 20% 고소득층(11.7%)보다 1.3%포인트(p) 높았다.
한은은 수입 원자잿값 급등과 저가 상품 수요 증가를 원인으로 꼽았다. 저가 상품에는 국내산 재료보다 수입 원자재가 많이 사용되는데, 팬데믹 이후 수입 제조용 원재료의 국내 공급 물가가 국내 생산·출하 원재료보다 더 크게 상승한 것이다. 또 연도별 상품 가격 분위별 매출액 비중을 보면, 저가 1분위 상품의 매출 비중은 팬데믹 이후 늘고, 고가 4분위 매출 비중은 줄어든 모습을 보였다. 고인플레이션 시기 실질소득 감소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전에 소비하던 상품과 비슷하지만 더 싼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행태를 보인다는 이야기다.
이외에도 ‘12·3 비상계엄 사태’로 높아진 환율도 칩플레이션을 가중한 요인으로 꼽혔다. 환율 고공행진이 지속되면 수입 물가가 끌어올려지고, 이는 가계와 수출입 기업에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은은 “저소득층이 더 고통받는 칩플레이션은 물가 급등기에 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통화정책을 통해 전체적으로 물가안정 기조를 유지하는 것이 결국 저소득층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길”이라고 해결책을 내놨다.
돌파구가 보이지 않는 대한민국 경제상황. 정부 차원에서의 움직임이 시급한 이 시기, 적절한 정책적 대책을 서둘러 마련이 되길 간절히 바라본다.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
- 항공기 이탈 방지 시스템 ‘이마스’...활주로 이탈 사고 피해 줄이는 설계 절실 [지식용어]
- 또 하나의 ‘바보상자’가 된 스마트폰...‘디지털 쉼표’에 대한 고민 이어져 [지식용어]
- ‘일’에 대한 의지와 의욕이 없는 ‘니트족’...미래의 빈곤을 부를지도 [지식용어]
- ‘탄핵 공방’에 커지는 경제 전반 우려...정부의 ‘투자세액 공제’는? [지식용어]
- 2025년 ‘을사년’, 푸른 뱀의 기운으로 ‘더’ 나아지기를 [지식용어]
-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명칭 둘러싼 논란으로 또 다른 상처주지 않기를 [지식용어]
- 3년 3개월만에 나온 ‘오징어 게임2’...화제성은 1위 [지식용어]
- 찬반 논란의 AI교과서, 도입 근거로 언급된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란? [지식용어]
- 인스타그램 ‘10대 계정’...청소년의 무분별한 SNS 이용 관리되길 [지식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