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선뉴스=박진아 기자 / 디자인=김선희 proㅣ어렸을 때 한 번쯤은 가지고 놀거나 실험을 해본 적이 있는 이것. 특히 장난감 종류 중에서도 로봇 장난감은 이것을 이용해 탈부착하는 기능으로 많이 활용되기도 한다. 겉으로는 같아 보이기도 하지만 어떨 때는 서로 밀어내고, 또 어떨 때는 서로 잡아당기는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석’. 우리 생활에서도 매우 다양하게 쓰이고 있는, 쇳조각을 끌어당기는 물질 ‘자석’에 대해 알아보자.
자석은 철이나 니켈 등을 끌어당기는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그 힘은 가운데 부분이 약하고 양 끝이 강하다. 끌어당기는 힘이 강한 자석의 양끝을 ‘자극’이라고 하며 그 성질을 ‘자성’이라고 한다. 그리고 신기하게 막대자석을 수평으로 매달고 가만히 두면 자석은 항상 남과 북의 방향을 가리킨다.
이때 자석의 N극이 가리키는 곳이 북쪽이고, S극이 가리키는 곳이 남쪽이다. 나침반의 바늘이 항상 남북 방향을 가리키는 것도 바로 자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침반과 막대자석을 함께 놔두면 바늘이 심하게 움직이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나침반 바늘도 작은 자석이기에 서로 잡아당기거나 미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지구 역시도 하나의 거대한 자석이라고 볼 수 있다. 나침반은 이러한 지구자기장을 이용해 만들어진 발명품인데 11세기 들어 중국에서 철로 된 자침을 이용한 나침반이 발명되어 항해에 이용되기 시작했고, 이 나침반 기술은 유럽에서 발전을 거듭하며 15세기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발견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우리가 주위에서 흔히 보는 자석은 영구자석으로 외부 자기장이 없이도 자기 현상을 나타내는 자성을 지닌 물질이다. 영구자석은 강자성 물질로 만드는데, 대표적인 강자성 물질에는 철, 코발트, 니켈 등 전이금속과 네오디뮴, 가돌리늄 등 희토류 물질이 있다. 또 자석은 형태에 따라서 막대자석, 말굽자석, 고리자석, 자석볼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 자석은 우리 생활에서 매우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모니터에 부착되어 화면 조절에 쓰이고 있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냉장고 문에는 안쪽 테두리에 자석이 달려 있어 냉장고 문이 몸체에 가까이 가면 저절로 닫히게 된다. 폐차장이나 고철 분리수거에 사용하는 크레인 끝에는 강력한 자석이 붙어 있어 무거운 자동차를 끌어올리기도 하고, 철을 따로 분리할 때도 유용하고 사용되고 있다.
자기부상열차는 열차와 선로가 서로 밀어내는 척력을 사용하는데,. 선로와 열차 사이에 인력과 척력이 번갈아 가며 작용하여 열차를 앞으로 달리게 한다. 바퀴가 없고 레일과 밑바닥이 닿지 않고 떠서 움직이기 때문에 마찰이 없어 소음 진동이 적으며 마찰로 인한 에너지 손실도 없어 높은 속도를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우리가 사용하는 신용카드나 교통카드의 뒷면을 보면 마그네틱 선이 있다. 이 부분에도 N극과 S극이 정해진 규칙에 따라 늘어서 있어 기계가 그 규칙을 읽어 정보를 인식하는 것이다.
그래서 주의할 점이 있다 .마그네틱 선에 자석을 가까이 대면 규칙이 섞여 기존에 저장되었던 정보가 사라진다는 점이다. 생각보다 우리 생활에서 다양하게 사용되는 자석, 또 어떻게 이용되는지 알아보면 유용할 것이다.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
- [카드뉴스] ‘솜방망이 징계’ 손질...강화된 비위 경찰관 징계 수위
- [카드뉴스] 영화 '감기'로 보는 바이러스 공포
- [카드뉴스] 지난 10년, 교수들이 뽑은 올해의 사자성어
- [카드뉴스] 원주민 언어에서 유래한 자연 용어 등 여러 가지 단어들
- [카드뉴스] 수능 끝! 불안에 떠는 소상공인들...‘가짜’ 신분증 제시하면 청소년도 처벌
- [카드뉴스] 원주민 언어에서 유래한 다양한 동물 이름들
- [카드뉴스] 알아두면 좋을 2025년 바뀌는 정책과 제도
- [카드뉴스] 현빈♥손예진...제법 쫄깃한 영화 ‘협상’
- [카드뉴스] 비슷하게 생겨서 구분하기 어려운 동물들 ‘비슷한 동물’
- [카드뉴스] ‘한국인 최초 노벨문학상’ 되짚어보는 한강의 작품 5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