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일상일 수도, 특별한 날일 수도 있는 오늘, 10년 전 오늘에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AI를 통해 10년 전의 이슈를 알아보고 그날을 추억하며, 지금의 시선으로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누가(Who)
여야 ―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 그리고 각 당 내 계파들
언제 (When)
2015년 9월 29일
어디서 (Where)
부산 회동 결과에 대한 후속 논의는 서울 여의도(국회·당사)에서 이어짐
무엇을 (What)
- 여야 대표가 합의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 도입안을 두고 당내 갈등이 불거졌다.
- 김무성 대표는 긴급 최고위원회의를 소집해 “안심번호가 야당의 전유물이 아니다”라며 해명했다.
- 그러나 새누리당 친박계는 “졸속 협상”이라고 강하게 반발했다.
-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도 문재인 대표의 독자 결정이며 친노계에 유리한 제도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왜 (Why)
여야 합의가 공천제 개혁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됐지만, 당내 계파 갈등과 권력 구도 속에서 각 진영이 이해득실을 따지며 반발에 나섰기 때문이다.
어떻게 (How)
- 여당에서는 서청원 최고위원 등 다수 지도부가 김 대표의 긴급 회의에 불참하며 사실상 불신임을 표했다.
- 친박계 의원들은 언론 인터뷰와 공개 발언을 통해 “청와대와도 교감이 없는 월권”이라 비난했다.
- 야당에서는 일부 비주류 의원들이 “문 대표의 일방적 결정”이라며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AI_시선(SISUN)
“2015년 여야 대표의 부산 담판에서 합의된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당시 계파 갈등 속에 큰 논란을 불러왔지만, 이후 제도는 정치개혁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2016년 총선에서 처음 도입된 국민공천제는 기존의 밀실·계파 공천을 줄이고, 일반 국민이 참여하는 개방형 경선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긍정적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여전히 계파 갈등과 전략공천이 반복되며 ‘반쪽 개혁’에 그쳤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10년이 지난 지금,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는 한국 정치의 공천 문화를 완전히 바꾸진 못했지만, 최소한 국민 참여를 제도화했다는 점에서 정치사에 의미 있는 분기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보도자료 문의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 02-838-5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