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 디자인=김선희 pro |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우리는 저마다 특정한 것에 ‘예민’한 면모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친밀할수록 서로의 예민한 포인트를 인지하며 최대한 그것을 건드리는 ‘선’을 넘지 않기 위해 노력하며 ‘관계’를 유지한다. 물론 서로 그 예민함에 대한 영역과 정도, 가치관이 다르면 관계는 유지될 수 없고, 여러 영역에서 ‘예민’함을 표출하는 사람은 ‘인간관계’ 영역도 좁아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이때. 누구나 알 수 있게 겉으로 드러나는 예민함을 가진 것이 아니라, 겉으로 볼 때는 무던한 얼굴의 가면을 쓴 채 속으로만 예민함을 호소하는 부류가 있다. 전자의 경우 누구나 보이는 예민함이기에 그가 그어 놓은 선을 타인들도 쉽게 느끼고 조심할 수 있지만, 후자의 경우는 주변에서는 그 예민한 포인트를 쉽게 알아차릴 수 없어 자신도 모르게 손절을 당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겉에서는 도무지 알 수 없는 평온의 가면을 쓴 예민함을 소유한 성향을 일컬어 ‘H.S.P’이라고 부른다.      

HSP는 Highly Sensitive Person의 약자로, 극도로 예민한 기질의 사람들을 지칭한다. HSP 보유 성향의 사람들은 대체로 태어날 때부터 기질적으로 예민하며, 인구통계학적으로 전체 인구의 16% 정도를 차지한다. 이들이 일반적인 예민한 사람과 극명하게 다른 점은, 자신의 예민함과 불만을 주변에 드러내기보다 무던한 모습을 한 채 자신의 내면에서만 예민함을 품고 있다는 점이다. 

보통의 예민한 성향의 사람들은 대다수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별것도 아닌 일에 언성을 높이고 히스테리를 부린다. 그렇게 주변에 ‘나 예민해!’를 알리며 수시로 가시를 세운 채 경고를 날린다. 이러한 반복을 통해서 자신을 보호하려는 행동이지만, 이것이 과하면 점점 고립될 수밖에 없다. 

반면, HSP 성향의 사람들은 자신의 예민함을 건드는 행위가 발생해도 불만을 드러내지 않고 참는다. 그래서 겉보기에 무던해 보이는 경우가 많고 ‘참자’ ‘일 키우지 말자’ ‘나만 참으면 모두가 평온하다’라는 생각으로 예민함을 억누른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태생적으로 무던한 사람과는 달리, 예민함을 속으로 숨긴 채 무던한 얼굴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에 따르면 HSP 성향 태어날 때부터 기질적 예민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래서 또래보다 많은 정보를 깊은 수준까지 습득하는 경향인 ‘초감각'(Super Sense)’이 있어 대체로 명민하다. 관심이 있는 것과 없는 것에 정도 차이가 크며, 한 번 몰입하면 집중력이 뛰어나지만, 관심도나 ‘하고 싶은’ 에너지가 떨어지면 순식간에 식어버리는 ‘초감정'(Super Feeling)’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HSP는 에너지가 식으면 돌아선다는 점이다. 자신의 초예민함을 숨기며 평화로운 물위의 오리처럼 살아가는 듯 하지만, 그만큼 남들을 위해 자신의 예민함을 숨기는 과정에서 감정 에너지 소모가 심하기에 일상을 보내고 집으로 돌아오면 기진맥진 한 상태로 축 처지게 된다. 이렇게 자신만의 공간에서 자신만의 회복 과정을 통해 다시 에너지를 회복하긴 하지만, 이 같은 마음의 안과 밖의 간극이 심한 과정이 반복되면 어느덧 지치게 된다. 그렇게 지치는 순간이 오면, HSP 성향은 이어져 있던 관계의 끈을 그냥 놓게 된다. 친구도, 가족도, 직장도 HAP 성향인의 주변사람들은 그들이 그저 수더분하다고 여기며 대하지만, 어느날 문득 이유도 없이 ‘손절’이라는 결과를 맞이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HSP 성향 역시 가끔은 표출하긴 한다. “쟤는 성격이 무던해서 좀 그래도 돼” “안 챙겨도 별말 없더라”라는 식의 여기저기서 선을 넘어 다가오는 예민함을 참다 임계점에 다다르면 화를 표출하지만, 주변에서는 “지금까지 내가 이래도 별말 없더니 쟤 뭐야?” “말 한마디 안 해놓고 갑자기 왜 저래?”라는 반응이 대다수이기에 이런 상황을 잘 만들지 않으려고 한다. ‘화도 내본 놈이 낸다’고 그들에게 화의 표출은 또 다른 불편함을 낳기에 참는 것으로 마무리 하려고 하는 것이다. 

평온의 가면을 쓴 예민한 사람을 지칭하는 HSP. 이들은 예민함을 거의 표출하지 않고, 겉으로는 수더분하게 보이기 때문에 실제 자신과 보이는 모습 사이의 간극이 크다는 점에서 나는 물론 타인에게도 어떤 변수가 들이닥칠 확률이 높다. 그래서 이와 관련한 서적 ‘나는 왜 남들보다 쉽게 지칠까’의 저자는 HSP로서 잘 살아가기 위해 스스로 '내가 너무 예민해서 과도하게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사실을 인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또한 HSP들에게 잘 안 맞는 사람들은 에너지 강도나 다를 바 없기에 최대한 빨리 관계를 정리할수록 좋다고 조언하다. 

다음은 HSP 초예민성 연구 권위자 일레인 아론이 개발한 검사표로, 23개 항목 중에 '그렇다'가 13개 이상이면 HSP일 가능성이 높다. 

1. 나는 주위에 있는 미묘한 것들을 인식하는 것 같다.
2. 다른 사람들의 기분에 영향받는다.
3. 통증에 매우 민감하다.
4. 바쁘게 보낸 날은 침대나 어두운 방 또는 혼자 있을 수 있는 장소로 숨어 들어가 자극을 진정시킬 필요가 있다.
5. 카페인에 특히 민감하다.
6. 밝은 빛, 강한 냄새, 사이렌 소리 같은 것들에 의해 쉽게 피곤해진다.
7. 풍요롭고 복잡한 내면세계를 지니고 있다.
8. 큰 소리에 불편해진다.
9. 미술이나 음악에 깊이 감동한다.
10. 양심적이다.
11. 깜짝깜짝 놀란다.
12.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일을 해야 할 때 당황한다.
13. 사람들이 불편해할 때 어떻게 하면 좀 더 편안하게 해줄 수 있는지 안다.
14. 사람들이 한 번에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면 짜증이 난다.
15. 실수를 저지르거나 뭔가 잊어버리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16. 폭력적인 영화와 TV 장면을 애써 피한다.
17. 주변에서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을 때 긴장한다.
18. 배가 아주 고프면 강한 내부 반응이 일어나면서 주의 집중이 안 되고 기분 또한 저하된다.
19. 생활의 변화에 의해 동요된다.
20. 섬세하고 미묘한 향기, 맛, 소리,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즐긴다.
21. 내 생활을 정돈해서 소란스럽거나 당황하게 되는 상황을 피하는 것을 우선으로 한다
22. 경쟁해야 한다거나 무슨 일을 할 때 누가 지켜보고 있으면 불안하거나 소심해져 평소보다 훨씬 못한다.
23. 어렸을 때 부모님과 선생님들은 내가 민감하거나 숫기가 없다고 생각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