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박진아 기자 / 디자인=김선희 pro | 시선뉴스에서 매주 전하는 시사상식. 하루에 하나씩 딱 7가지의 상식만 알아두어도 당신은 스마트한 현대인이 될 수 있습니다. 2024년 06월 둘째주 시사상식 모음입니다.

1. 국립현충원
‘현충원’은 나타날 현(顯), 충성 충(忠,) 집 원(院)자로 국가와 민족을 위해 목숨을 바친 영령들이 모셔진 국립묘지이다. 현재는 서울과 대전 두 곳에 있으며 국립서울현충원은 국방부, 국립대전현충원은 국가보훈부에서 관리한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276)

2. 저출생대응기획부
‘저출생대응기획부’는 지난달 9일 윤석열 정부 2년 국민보고에서 처음 밝힌 신설 계획으로 저출생·고령화를 위한 부서다. 윤 대통령은 이날 기존 저출생 문제를 담당해 온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를 정식 부처인 저출생대응기획부로 승격하고, 저출생부 장관이 사회부총리를 맡게 하겠다는 구상을 밝혔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219)

3. 뭉크 
1863년, 노르웨이에서 태어난 뭉크는 노르웨이 출신의 표현주의 화가다. 그는 예술적 재능을 가진 어머니 밑에서 태어났다. 그 영향을 받아 뭉크와 누나 소피에는 어릴 때부터 그림에 소질을 보였다. 그러나 그는 비극적인 가족사를 경험하게 된다. 어머니는 뭉크가 다섯 살이 되던 해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났고, 소피에도 어머니와 같은 병으로 1877년 사망했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294)

4. 헬시플레저 
‘헬시플레저’는 건강을 의미하는 ‘헬시(Healthy)’와 즐거움을 말하는 ‘플레저(Pleasure)’의 합성어다. 무언가를 포기하고 절제하는 건강 관리가 아닌 즐거움이 있는 건강 관리, 즉 ‘지속 가능한 건강 관리’를 추구하는 것이 특징이다. 날이 갈수록 많아지는 1인 가구와 코로나19 팬데믹의 여파로 건강과 보건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며 이러한 말이 나타났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178)

5. 원더랜드 
‘원더랜드’는 배우 탕웨이와 그의 남편 김태용 감독의 두 번째 협업 작품으로 이외에도 수지, 박보검, 정유미, 최우식 그리고 특별출연에 공유까지 엄청난 인기를 끄는 배우들이 한데 모였다. 원더랜드는 누구나 마주해야만 하는 영원한 이별의 순간, 일상의 모든 빅데이터를 통해 세상을 떠난 사람을 구현해 내는 ‘원더랜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1274)

6. 깡통전세 
‘깡통전세’는 남는 것이 없거나 손해를 본다는 뜻의 ‘깡통 차다’와 ‘전세’를 결합한 용어로 집주인의 주택 담보 대출 금액과 전세금 합계가 집값에 육박해 시장 침체 때 집값이 떨어지면서 세입자가 전세금을 떼일 우려가 있는 주택을 가리키는 말이다. 통상적으로 주택 담보 대출 금액과 전세금을 합한 금액이 집값의 70%를 넘어서면 깡통전세로 본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60372)

7. 실리콘칼라
실리콘칼라는 창의적인 사고와 뛰어난 컴퓨터 실력을 앞세워 다양한 성과를 이루는 두뇌 노동자를 말한다. 단순히 두뇌 능력이 뛰어난 첨단 직군의 인간 노동자는 물론, 이를 넘어 인류를 대체할 기계(로봇) 노동자를 ‘실리콘칼라’라 칭한다. 
(https://sisu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0348)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