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양원민 기자ㅣ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수입 제품 중 세슘이 검출된 가공식품이 200여 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의 ‘일본산 가공식품 방사능 검출 현황(2011.3~2023.5)’에 따르면 후쿠시마 외에도 일본 전역에서 생산한 식품에서 방사능이 검출됐으며 초콜릿, 녹차류에서 가장 많이 검출됐다. 일본 수산물 수입에 대해 각국에서 전면적 혹은 일부 금지 등 조치를 이어 나가는 가운데, 수산물 외의 식품에서도 세슘이 검출된 것이다.

세슘(원소 기호 Cs, 원자번호 55)은 무른 은백색의 알칼리성 금속이다. 원자력 발전소 사고나 핵무기 실험에서 생기는 방사능 오염 물질 중 가장 위험성이 큰 물질로, 석유 시추, 원자시계, 여러 전자 장치 등에 사용된다.

식품 중 방사능 검사는 세슘과 요오드에 대해서 진행한다. 방사능 검사 기준에 관해 강윤숙 식약처 식품기준기획관은 “식품 중 방사능 기준은 우리 국민의 식품섭취량, 섭취식품 중 방사능 오염률, 방사성 물질이 오염된 식품 섭취로 인해 인체에 미치는 실질적인 영향을 고려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식품을 통한 방사선 노출량이 최대 안전기준(1mSv/년)을 넘지 않도록 계산해 설정한다”고 말했다. ‘밀리시버트(mSv)’는 사람이 방사선을 쬐었을 때 영향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다.

방사선 노출에 대한 최대 안전기준은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가 일본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 생존자가 단기간(1~2주)에 방사선을 100mSv 이상 받으면 암과 같은 질병 발병 위험성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했다. 사람이 평생 노출되어도 암 발생과 같은 영향을 주지 않는 방사선의 양을 보수적으로 100mSv로 설정한 후 연간 안전기준을 1mSv로 정했다고 한다. 이에 우리나라 또한 방사능 최대 안전기준으로 1mSv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최대 안전기준을 고려해 식품 중 방사능 기준을 설정하게 된다. 

우리나라의 기준은 1986년 체르노빌 원전 사고 이후 처음 만들어졌는데, 우리 국민이 섭취하는 식품의 10%가 방사성 세슘 370Bq/kg에 오염됐다는 가정하에 연간 방사선 노출량은 0.325mSv인데, 이는 최대 안전기준의 약 1/3 수준이었다.

이후 2011년 일본 원전 사고를 계기로 요오드와 세슘 기준을 100Bq/kg 이하로 개정했다. 이때는 체르노빌 때와는 달리 지리적으로 매우 가까운 나라에서 발생한 만큼, 우리 국민이 섭취하는 식품의 50%가 오염되었다고 가정해 매우 보수적으로 설정했다고 한다. 기준에 관해 강 기획관은 “이 기준은 세계 어느 나라보다 엄격하다”고 했다.

이러한 현안에 대해 여야는 지난 13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를 대상으로 한 국정감사에서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영향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여당은 식약처가 가짜뉴스 방지로 국민 불안 해소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고, 야당은 수산물 수입 금지 확대 등 안전을 위한 방안을 찾을 것을 촉구했다.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내 인터넷 쇼핑몰에서 구입한 일본산 된장 2팩을 직접 갖고 나와 “수입 금지 사각지대가 발생한다”며 “이 된장에서 2022년 2월, 12월 두 차례 세슘이 검출돼 300kg이 반송됐다. 이후에도 9차례에 걸쳐 1,550kg이 들어왔다”며 “이 제품에 세슘이 100% 없다고 실무자들도 장담 못 한다”며 지적했다.

반면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은 “요오드 및 세슘에 대한 주요국 수산물 방사능 기준 중 우리나라는 가장 엄격한 0.5㏃ 이상이면 추가 핵종 증명서를 요구하고 반입 금지한다. 이렇게 엄격하게 하는 나라가 있나”라고 반박했다.

이에 오유경 식약처장은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엄격한 것으로 안다”며 “코덱스(CODEX·국제식품규격위원회) 기준은 세슘이 1,000㏃, 미국이나 유럽연합(EU)은 1,200㏃ 이상”이라며 “우리나라가 코덱스보다 10배 엄격하다”고 말했다.

각국의 기준과 그 이유는 다르지만, 우리나라는 방사능 위험 물질인 세슘이 검출된 식품에 대해 예민할 수밖에 없다. 일본이 집단 트라우마를 겪거나 질병에 걸리고 사망에까지 이르는 것을 가까이에서 직·간접적으로 지켜봐 왔기 때문이다. 여야가 공방을 벌일 게 아니라 국민 불안 해소, 국민의 안전을 위해 힘을 합해 해결책을 찾아야 할 때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