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 / 디자인 이윤아Pro] 10년 전의 100만원의 가치와 현재의 100만원의 가치가 똑같을까? 물가가 오르는 만큼 똑같은 100만원으로 누릴 수 있는 가치가 10년 전과 현재와는 확연히 다를 수밖에 없다. 때문에 노동자의 생활에 원천이 되는 ‘임금’은 물가 상승과 실질적인 돈의 가치에 따라 책정되어 ‘실질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실질임금은 물가상승을 고려한 돈의 실질적인 가치를 적용해 책정하는 급여로 노동자의 생활수준은 이 실질임금에 의해 좌우된다. 실질임금과 반대 되는 개념은 ‘명목임금’으로 이는 물가의 상승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화폐액을 기준으로 근로자들이 일한 대가인 ‘임금’을 지급하는 것이다. 이 말은 곧, 임금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물가가 오르면 실질 임금은 감소하게 되지만, 명목 임금은 변하지 않는다.

실질임금을 계산하는 방법은 명목임금을 소비자물가지수로 나누어 산출한다. [실질 임금= (명목임금/소비자물가지수) × 100]. 그러나 이는 이론적일뿐 실질임금의 산정 기준이 되는 소비자물가나 표준생계비의 산정에는 여러 방법이 있다. 그리고 실질임금의 계산을 맡은 사람의 입장이나 사상 등에 가치가 달라지기 때문에 모두가 수긍하는 객관적인 측정은 매우 어렵다. 때문에 이를 담당하는 사람은 실질임금 계산에 있어 실질임금 책정에 있어서 시점, 물가, 지역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소비 유형의 변화 등 수정 인자들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실질임금은 물가에 큰 영향을 받는다. 물가가 오르면 거기에 유동적일 수밖에 없는 실질임은 화폐액은 그대로일지라도, 실질임금 자체는 낮아지게 된다. 최근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유럽에 전례없는 물가대란이 이어졌고, 대러제재에 본격 가담하면서 그 여파는 더 커져 실질임금이 삭감되는 상황에 놓였다. 

유럽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책임을 묻는 과정에서 경제적으로 역풍을 맞기 시작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대러시아 제재와 맞물려 에너지와 식료품 가격이 치솟아 가계의 고통이 점점 커지는 형국. 실제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의 5월 소비자 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8.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997년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로 유로존의 물가상승률은 작년 11월 이후로 매월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이 같은 물가급등 때문에 기존과 같은 금액의 임금을 받아 생활하는 가계는 실질적인 수입인 ‘실질임금’이 삭감되는 고통에 직면했다. 유로존 내 근로자들의 임금 상승률은 물가 상승률에 훨씬 뒤처지면서 결과적으로 가계의 지출 여력이 줄어드는 것이다. EU 집행위원회는 올해 유로존의 실질임금이 평균 2.2%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같은 부작용은 러시아에 대한 에너지 의존도가 높은 국가에서 더 두드러질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비단 유럽의 문제 뿐만은 아니다. 세계 모든 국가에서 유가와 곡물 가격이 상승하고, 반도체 등 산업 기반의 수출입 통로가 막히면서 도미노 현상처럼 물가가 눈에 띠게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그에 반에 노동자들의 임금은 기존과 동일하거나 물가 상승률 대비 적게 상승하고, 오히려 기업의 매출 감소로 도리어 삭감되기도 하기에 ‘실질임금’이 삭감되는 효과를 낳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인 상황. ‘주머니 사정은 그대로인데 물가만 오르는’ 실질임금 하락 사태를 막기 위한 발빠른 대처가 필요해 보인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