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양원민 기자ㅣ코로나19 사태 이후 가방, 시계 등 모조품 밀수입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관세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7월까지 지식재산권을 위반해 수입된 시계와 가방의 규모가 총 1조 7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8년 3천986억 원, 2019년 4천704억 원 등 증가세였다가, 코로나19 사태가 한창이던 2020년 1천229억 원, 2021년 524억 원으로 줄었다. 하지만 지난해 4천980억 원, 올해는 7월까지 1천260억 원어치가 단속에 걸리며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다. 어떤 품목과 브랜드가 가장 많았을까?

첫 번째, 시계

[사진/pxhere]
[사진/pxhere]

시계는 모조품이 가장 많은 제품군 중 하나며 남성들의 명품 중 가장 대표되는 제품군이다. 시계 모조품 중 적발액이 가장 큰 브랜드는 롤렉스로 1천295억 원에 달했다고 하며, 이는 상위 10개 시계 브랜드 합계 적발액의 90%에 달해 압도적 비중을 차지했다. 뒤로는 까르띠에(38억 원), 위블로(26억 원), 불가리(19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시계는 2022년 적발 금액이 3,205억 원이었는데, 이는 전년도 대비 320배나 증가한 수치다.

두 번째, 가방

[사진/pexels]
[사진/pexels]

남성들이 가장 많이 찾는 시계에 이어 여성들이 가장 많이 찾는 명품 제품엔 가방이 있다. 가방 모조품의 경우 루이비통이 583억 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버버리(566억 원), 샤넬(495억 원) 등이 뒤를 이었다고 한다. 또 보테가베네타, 생로랑, 구찌, 디올 등 10위까지의 총 적발 금액이 지난 2년간 적발된 모조품 가방 금액의 약 90%를 차지했다.

세 번째, 향수 등 다양한 카테고리

[사진/flickr]
[사진/flickr]

샤넬 향수 등 위조상품 약 30만 건이 온라인에서 판매되어 왔다. 지난 13일 더불어민주당 정일영 의원이 특허청에서 받은 ‘온라인 플랫폼별 위조상품 적발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네이버 플랫폼 내에서 가품이 유통되다 적발된 사례가 29만 7,200건에 달한다고 한다. 특히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에서 판매한 ‘블루 드 샤넬’ 향수에는 식약처 기준상 판매금지에 해당하는 유해 물질인 메탄올이 0.28(v/v%)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고 한다.

모조품들은 비단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판매되고 있다. 소비자들은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매하지 않는 이상 진·가품을 완벽하게 구분할 수 없다. 하지만 포털에 원하는 제품을 검색했을 때 가격순, 판매순 등으로 여러 제품들이 올라오며 공식 홈페이지를 들어가기보다는 ‘쇼핑’ 탭에서 구매하고 알아볼 일이 많다. 

해당 업계를 잘 아는 사람이 아니라면, 혹은 온라인 판매 시스템에 이해도가 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어떠한 경로를 통해 구매해야 하는지 잘 모른다. 또 그냥 포털을 믿고 구매하거나 판매자가 정품, 진품이라고 속여 팔면 이를 검증할 방법이 없기에 소비자들은 이를 믿고 구매할 수밖에 없다.

한편, 지난해 적발된 지적재산권 침해 물품의 99.7%는 중국발로 나타났다. 국내로 반입되는 짝퉁 제품의 대다수가 중국발인 것이다. 이에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명품을 고르는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망된다. 

지적재산권은 창작자와 창작물을 보호하기 위한 권리다. 요즘 시대엔 개인의 창의력이나 독창성을 표현한 다양한 분야의 창작물들이 전 세계로 빠르고 쉽게 퍼져나간다. 온라인을 통해 글, 이미지, 영상을 쉽게 옮길 수 있고, 각국의 항공, 선박을 통해 모든 물건이 왕래하기에 지적재산권을 지키는 것은 더욱 어렵고, 중요해졌다. 이를 지키기 위해서는 모두가 모조품 사용과 불법 다운로드 등을 근절해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