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정혜인 기자ㅣ지난 8월 12일, 서울 시내버스 기본요금이 300원 올라 1천 200원에서 1천 500원이 됐다. 지하철도 10월 1일부터 1천 250원에서 1천 400원으로 150원 인상될 예정이다. 이렇듯 대중교통 요금이 연달아 오르는 가운데 서울시는 부담을 줄이면서 광역교통난을 해소하기 위해 ‘기후동행카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기후동행카드’는 월 6만 5천 원으로 서울 권역 지하철과 시내·마을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 등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는 카드로, 내년 1~5월 시범 운영 후 보완을 거쳐 24년 하반기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최초 3천 원으로 카드를 구매한 후 실물 카드와 스마트폰 앱으로 이용할 수 있는데, 시범 기간 앱은 안드로이드에서만 제공한다. iOS는 시범 운영이 끝난 뒤에 이용 가능하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에서 타고 내리는 지하철 1∼9호선을 비롯해 경의·중앙선, 분당선, 경춘선, 우이신설선, 신림선까지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신분당선은 기본요금이 달라 제외된다.

서울이 아닌 경기·인천 등 다른 지역은 하차할 때는 이용할 수 있지만, 승차할 때는 쓸 수 없다. 지하철처럼 버스도 시내·마을버스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다만, 경기·인천 등 타지역 버스나 기본요금이 다른 광역버스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타지역 버스 구분 기준은 ‘노선 면허’ 지역으로, 노선번호를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시행되면 고물가와 대중교통 요금 인상에 따른 가계 부담 완화를 기대하고 있다. 시는 주중 승용차로 출·퇴근하거나 주말에 승용차를 타다 대중교통으로 전환하는 모든 경우를 포함하면 약 50만 명의 시민이 1인당 연간 34만 원 이상의 할인 혜택(따릉이 포함)을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서울 권역에서만 매월 6만 5천 원 이상 대중교통 요금을 내는 시민이 90만 명으로 추산됐고 알뜰카드와 정부가 도입 예정인 K패스 이용자 등을 빼면 50만 명이 남는다”며 “50만 명이 주말 따릉이까지 탄다는 가정하에 기후동행카드를 월 40회 이용하면 산 만큼 값을 하고, 60회 쓰면 3만 원의 할인 혜택을 본다”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온실가스 감축 효과도 예상된다. 서울 온실가스 전체 배출량 중 수송 분야 온실가스가 17%(약 763만t)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 서울의 대중교통 수단분담률은 52.9%로 2018년 65.1%보다 줄었으나, 승용차 수단분담률은 같은 기간 24.5%에서 38.0%로 늘었다. 서울시는 새 제도를 통해 연간 1만 3천 대가량 승용차 이용이 줄고 연 3만 2천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요금 할인 시범사업 재원은 50%는 서울시(지자체)가, 나머지 50%는 운송기관이 부담하는 구조로 총 750억 원으로 추산됐다. 서울시는 카드를 경기도, 인천 등 수도권 전체로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해외에서도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해 무제한 통합 교통카드를 도입하고 있다. 독일은 9유로 실험 티켓을 도입해 대중교통 이용 25% 증가, 이산화탄소 저감 등의 효과를 달성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기후동행카드도 이처럼 대중교통 수요를 늘리며 기후 위기 대응의 단초가 되길 기대한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