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하얀 유혹의 가루. ‘이것’이 들어가지 않은 포장 식품을 찾아 볼 수 없을 정도로 친숙한 하지만 반대로 오랜 논쟁거리기도 한 ‘설탕’. 한때는 귀한 존재였다가, 여러 질병의 원인으로 지목되며 악마의 유혹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현대인들에게는 아주 흔한 ‘백설탕’. 현대인들에게는 아주 흔한 ‘백설탕’. 심지어 일부러 기피하기도 하는 대상이지만, 과거에는 소위 ‘쉽게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니었다. 백설탕이 처음 만들어진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 고가의 사치품 중 하나였다. 200년 전만 해도 백설탕은 비싸고 귀한 사치품이었다. 과거에는 원료인 사탕수수 식물에서 설탕, 즉 분자식이 C₁₂H₂₂O₁₁인 복잡한 자당 분자를 추출하는 수작업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었기 때문. 그래서 당시 설탕은 왕궁 연회나 의식, 혹은 의학적 용도로 조금씩 사용되었다. 19세기 중반에도 설탕의 가치는 20세기의 석유와 맞먹었을 정도.

백설탕은 아이러니하게도 ‘흑인 노예’ 문제를 더욱 심화하기도 했다. 이처럼 귀한 설탕을 얻기 위한 유렵의 부자 백인들은 노동력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역사학자 윌버 보스마의 기록서 '설탕' 따르면 아프리카에서 납치돼 배에 실려 대서양을 건널 때까지 살아남은 흑인 1천250만명 중 적어도 1/2∼2/3이 사탕수수 플랜테이션 농장에 끌려갔다. 농장주들은 노예의 노동력을 최대한으로 짜냈으며 식량까지 스스로 재배하도록 했다. 이에 노예들은 밤낮 주말 가리지 않고 일을해야 했고, 반대로 식량은 턱없이 모자라 영양부족에 시달려야 했다. 심한 경우 이들은 쥐, 도마뱀, 뱀 등을 잡아먹기도 했으며 각기병 등에 시달렸다. 많은 기록에 따르면 노예제가 폐지된 후에도 사탕 원료를 생산하는 노동자들의 삶은 비참하기 그지없었다.

다행히 산업화가 빠르게 이루어지면서, 설탕의 생산은 어렵지 않은 일이 되었고 식품 산업의 발달로 규모도 더욱 커졌다. 압착기, 보일러, 원심분리기를 갖춘 거대한 공장이 대량 공급된 사탕무나 사탕수수를 몇 시간 만에 흰색 결정으로 변화시켰고, 막대한 양의 설탕은 빠르게 현대인들의 먹거리 여기저기에 듬뿍 사용되며, 오늘날 1인당 연간 60㎏(북미 기준)에 육박하는 설탕과 감미료를 소비하기에 이르렀다. 

설탕을 얻는 일은 쉬어졌으나 이제는 너무 많이 생산되고 먹거리에 사용되는 설탕이 또 다른 문제를 만들기 시작했다. 먼저 환경 파괴에 일조하고 있다. 설탕과 에탄올 수요 증가는 원료인 사탕수수 재배 면적 확대로 이어졌다. 사탕수수 재배 면적은 1960년에서 1985년 사이에 두배로 늘었다. 그리고 에탄올을 생산하기 위해 숲을 사탕수수밭으로 전환한 결과 탄소 흡수 능력을 감퇴까지 고려하면 화석 연료를 사용할 때보다 탄소 배출량이 더 늘었다.

아울러 사탕수수 재배에는 다량의 물이 필요하며 이 역시 생태계에 큰 부담을 지웠다. 인도 서부 마하라슈트라주의 사탕수수 재배 지대는 2010년대 강수량 감소로 심한 물 부족을 겪기도 했다. 

설탕은 무섭게도 건강 파괴에도 일조하고 있다. 과도한 설탕 섭취는 건강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는 오랫동안 많은 의학 저널과 전문가들을 통해 경고 되어 왔다. 권위 있는 의학 저널 '런덧 랜싯'에는 1845년에 이미 비만과 진성 당뇨병의 원인으로 설탕과 녹말을 지목하는 논문이 실렸다. 또 영국 생리학자이며 영양학자인 존 유드킨은 비만의 급증, 고혈압, 심장 혈관 질환의 원인이 설탕이라는 주장을 담은 '순수하고 하얀, 죽음의 설탕'(1972)을 펴내기도 했다. 

실제 설탕 섭취가 비정상적으로 많은 국가들은 이미 심각한 경보가 울리고 있다. 다수의 자료에 따르면 설탕의 요람으로 불리는 ‘인도’는 당뇨병 환자가 7천700만명에 달하고 설탕의 섬이라 불리는 ‘모리셔스’에서는 인구의 22%가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현재까지도 수많은 매체에서 전문가들은 ‘설탕’ 남용의 위험성을 경고하며, 설탕이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의 주요 원인이므로 주의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오랜 역사를 지닌 달콤한 유혹 ‘설탕’의 반전의 역사. 여전히 설탕은 달콤함을 선사하며 많은 이들을 즐겁게 하지만 반대로 질병 유발과 비만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두 얼굴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