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나 지역을 넘어 전 세계 각계각층에서 존경 받는 사람들. 그런 역량을 갖춘 인재이자 국가나 기업을 ‘글로벌 리더’라고 부른다. 역사 속 그리고 현재의 시대를 이끌고 존경받는 사람들은 누가 있을까. 그들의 삶의 기록과 가치관 등을 살펴보는 시간을 가져본다.

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크리스토퍼 놀런 감독의 신작 '오펜하이머'가 국내에서도 지난 15일 개봉한 이후 상반된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 작품은 세계 역사에 대반향을 일으킨 인물 ‘오펜하이머’의 삶을 다룬 전기 영화로, 그가 실제로 어떤 인물인지에 대한 관심도 높다.

[영화 '오펜하이머' 공식포스터]

천재 물리학자 로버트 오펜하이머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원자폭탄 개발을 위한 '맨해튼 프로젝트'를 주도한 천재 물리학자다. 그는 1904년 미국 뉴욕의 독일계 이민자 출신의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1925년 하버드대 학부를 졸업한 그는 영국 케임브리지대를 거쳐 독일 괴팅겐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네덜란드 라이덴과 스위스 취리히 등에서 연구하고 미국으로 돌아가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교수가 돼 물리학을 가르쳤다.

정치에도 관심이 컸던 ‘오펜하이머’
1920년대는 양자역학이 과학계의 관심사로 떠오른 때로, 오펜하이머도 예외는 아니었다. 오펜하이머의 관심사는 물리학을 넘어 문학, 미술, 음악, 사회, 정치로도 뻗어나갔다. 다방면에 관심이 많은 것은 물론 재능도 두루 보였고 그중 정치에 남다른 관심을 보였다. 그러던 오펜하이머는 2차 세계대전 직전 발발한 스페인 내전에도 관심을 가져 공화파를 지지했고, 이 과정에서 공산주의자들과 교류했다. 그가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에서 식물학을 공부하던 캐서린 퓨닝을 만난 것도 이 무렵이다.

2차 세계대전, 그의 운명을 바꾸다
저명한 물리학자로만 남았을 수도 있는 오펜하이머의 삶은 독일에서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가 집권하고 1939년 폴란드 침공으로 2차 세계대전을 일으키면서 전기를 맞는다. 우라늄 핵분열 실험에 성공한 독일이 원자폭탄을 먼저 개발할 경우 인류에 재앙적 결과가 올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자 미국은 맨해튼 프로젝트에 착수한다. 미국과 영국의 뛰어난 과학자들이 집결한 이 사업을 이끈 인물이 바로 오펜하이머다. 그의 주도 아래 1943년 뉴멕시코주 로스앨러모스에 거대한 연구단지가 건설되고, 이곳에서 맨해튼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극 중 '오펜하이머(킬리언 머피 분)' [영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오펜하이머가 이끈 맨해튼 프로젝트는 마침내 성공한다. 이들이 최초의 핵폭발 시험에 성공한 건 1945년 7월 16일로, 이미 나치 독일이 연합군에 항복한 직후였다. 이후 미국이 개발한 원자폭탄은 그해 8월 6일 일본 히로시마, 9일 나가사키에 투하돼 일본의 항복을 끌어냈다. 이는 한국 역사와도 무관치 않다. 그가 개발한 원자폭탄은 2차 세계대전의 종식을 앞당겼고, 일제의 지배 아래 놓여 있던 한국의 광복도 그만큼 앞당긴 것. 이 때문에 '오펜하이머'가 광복절 개봉한 것도 나름대로 의미가 있다는 해석도 있다.

오펜하이머를 향한 공격들 심화
미국의 영웅으로 떠오른 오펜하이머는 1947년 미국 원자력위원회의 자문위원회 의장을 맡아 1952년까지 재임했다. 하지만 이 시기 그가 수소폭탄을 포함한 핵개발에 대해 반대의 목소리를 내면서 정적들이 생겨나기도 했다. 이후 1950년대 매카시즘(1950년대 미국에서 일어난 반공 사상)의 광풍이 불면서 오펜하이머에 대한 공격이 본격화했다. 핵개발에 반대했다는 이유로 그는 소련에 우호적인 인사로 몰렸고, 연방수사국(FBI)은 그 의혹을 입증할 자료를 수집하기 시작했다. 

이후 오펜하이머가 소련의 간첩이란 주장까지 제기돼 1954년엔 청문회가 열렸고, 맨해튼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했던 과학자 등이 오펜하이머에게 불리한 증언을 내놨다. 원자력위원회는 그의 간첩 의혹을 인정하진 않았지만, 기밀 접근 권한을 박탈하는 조치를 취했다. 미국의 영웅에서 간첩 의혹까지, 다양한 평가 속에 오펜하이머는 1967년 세상을 떠났고, 원자력위원회는 '기밀 접근 권한 박탈' 결정을 취소한 건 지난해 12월이다. 무려 68년 만에 고인이 된 오펜하이머의 명예를 회복한 셈이다.

오펜하이머의 숙적, ‘루이스 스트로스’

극 중 '루이스 스트로스(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분)' [영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영화에서 오펜하이머의 주변 인물 중 가장 중요한 사람은 원자력위원회 의장을 지낸 루이스 스트로스(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다. 영화는 오펜하이머와 스트로스의 회고를 통해 오펜하이머의 과거를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전개된다. 스트로스는 맨해튼 프로젝트의 성공 이후 원자폭탄보다 강력한 파괴력을 가진 수소폭탄의 개발을 추진하지만, 오펜하이머의 반대에 부딪혔다. 하지만 해리 트루먼 대통령이 수소폭탄 개발을 승인하면서 스트로스의 손을 들어준다.

오펜하이머가 소련의 간첩 의혹을 받게 된 것도 스트로스와 무관치 않다. 그는 맨해튼 프로젝트 진행 단계부터 오펜하이머를 의심했고, FBI에 오펜하이머의 감시를 요청했다. 그리고 이것이 발단이 되어 오펜하이머가 소련의 간첩이라는 주장이 되기 되었으며, 청문회가 열렸고, 기밀 접근 권한이 박탈되었다. 한편, 스트로스는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행정부에서 상무장관 후보자로도 지명되지만, 의회 인준 청문회를 통과하진 못했다.

극 중 '오펜하이머(킬리언 머피 분)' [영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분단의 한반도 안에서 북한의 핵무기 개발로 핵전쟁 공포의 그늘이 오래전부터 드리워져 있다. 이 가운데 한국에서도 핵을 보유해야 한다는 핵보유론이 대두하는 등 한국 스스로의 핵억제력를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은 게 사실이다. 이런 상황에 입각해 보았을 때 영화 ‘오펜하이머’와 그의 일대기는 우리에게 상당히 의미 있게 다가온다. 핵억제력을 갖추기 위해 핵을 보유해야 한다는 타당하면서도 한편으로는 공멸의 위험을 안고 있는 생각들. 이러한 '양날의 검'과 같은 가치에 비춰보았을 때 ‘오펜하이머’의 원자폭탄 개발 업적은 인류에게 과연 득일까 실일까.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