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연일 치러지는 정치권의 정쟁. 그 요소 중 하나는 오랫동안 이어져 온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들이다. 이를 두고 야당은 철저한 특검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반면, 여당과 대통령실은 ‘거부권’을 행사하며 신중을 기하는 모양새로 최근에는 ‘제2부속실’ 부활 방침을 시사했다. 

제2부속실은 과거 청와대에서 대통령 배우자 관련 업무를 전담했던 곳으로, 윤석열 대통령은 대선 당시 제2부속실 폐지를 공약했고 취임 후 이를 이행한 바 있다. 그런데 최근 김건의 여사를 둘러싼 잡음이 이어지고 특히 ‘명품가방 수수 논란’ 등이 리스크로 작용하자, 제2부속실 부활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설 연휴를 앞두고 지난 8일 KBS대담서 논란 3개월만에 첫 입장표명을 했지만, 여전히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에 따르면 제2부속실 부활은 기정사실로 여겨지고 있다. 윤 대통령은 제2부속실 부활에 최근까지도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왔던 것으로 알려졌으나, 참모진 설득 속에서 수용하는 쪽으로 선회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대선 당시 약속을 변경하게 된 만큼 국민에게 그에 대한 양해를 구해야 하는 일"이라며 실제로 제2부속실 설치에 나설 것임을 밝혔다. 지난 5일 '국민 대다수가 설치하는 게 좋겠다고 생각하면 검토하겠다'는 입장 표명이 '조건부' 검토가 아니라는 설명이다. 또 다른 관계자는 이러한 배경에 대해 "윤 대통령이 야당뿐 아니라 언론과 여론 등 전반적인 흐름을 살펴 제2부속실 설치를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공적인 영역에서 관리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판단"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대통령실 내부 분위기에 따라 제2부속비서관 후보군 물색 등 후속 조치를 검토할 것으로 전해졌다. 원래 청와대에 있던 조직인만큼, 되살리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이라는 게 대통령실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기존 부속실에서 김 여사를 보좌해온 '배우자팀'을 토대로 5명 남짓한 규모로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통령실의 ‘제2부속실’ 부활 방침을 두고 ‘김건희 특검법’을 의식한 ‘대안’ 조치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대통령실은 일각에서 제2부속실 부활을 이른바 '김건희 특검법'에 대한 윤 대통령 거부권 행사의 '대안'으로 해석하는 데는 "제2부속실 설치는 기본적으로 특검과 관련이 없다"며 강하게 선을 긋는 모습이다. 제2부속실 설치와는 별도로, 김 여사는 정상외교 일정 등을 제외하고는 당분간 공개 일정을 최소화할 것이라는 게 대통령실 관계자들의 공통된 설명이다. 실제로 김 여사는 지난달 15일 네덜란드 국빈 방문에서 귀국한 뒤 공개 석상에 등장하지 않고 있다.

‘제2부속실’ 부활에 대한 여야의 입장차는 뚜렷해, 이 또한 정쟁의 한 요소로 급부상하고 있다. 우선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업무를 전담하는 제2부속실 설치 주장에 "공감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별감찰관과 제2부속실은 (특검과) 다른 영역이다. 이쪽에 대해 대통령실이 전향적으로 설명한 거라 보고, 그 과정에서 당이 도울 일이 있다면 착실하게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실의 제2부속실 설치 주장은 거부권 행사에 분노한 '특검 민심'을 회피해 보려는 물타기에 불과하다"며 "제2부속실 설치는 특검의 대안이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권칠승 수석대변인은 "윤 대통령이 외쳤던 '법과 정의', '공정과 상식'을 스스로 무너뜨려 놓고도 반성은커녕 오히려 오만과 독선으로 민심을 외면하고 있는 것"이라며 "국민의 압도적 다수가 찬성하는 '특검 민심'을 제2부속실 설치와 같은 얄팍한 수단으로 피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인가. '국민은 늘 무조건 옳다'던 대통령은 왜 국민의 명령인 특검법을 거부했는지 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있는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들. 이를 둘러싼 여야의 날선 공방은 총선을 앞두고 더욱 심화하고 있다. 특히 꼬인 난제를 풀어내기 위한 솔루션마저 양측은 평행선을 달리며 그 혼란은 가중되고 있다. 총선 전 ‘국민을 위해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가 궁금한 민심은 뒷전이고 여전히 ‘네 탓’ 정쟁만 이어지고 있는 정치권에 국민 피로감만 높아지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