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기자] 사람들은 새해, 혹은 어떤 중요한 일이 있거나 일이 잘 풀리지 않을 때 종종 점을 보기도 한다. 그리고 심심풀이로 별자리 운세나 오늘의 운세 같은 것도 자주 접하게 된다.

그런 운세들을 보면 구체적으로 자세하게 말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뭔가 나의 상황이나 내 성격과 일치하는 것 같다. 이렇게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얘기 했을 때 자신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을 일컬어 포러 효과(Forer effect) 혹은 바넘 효과(Barnum effect)라고 한다.

 

바넘 효과는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맞추는 일을 하던 (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바넘은 곡예단을 찾아 온 사람들의 성격이나 근래 있었던 일 등을 맞추기로 유명했는데 어떻게 그런 것이 가능했는지는 거의 100년 동안 수수께끼였다. 그러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포러(Bertram Forer)가 성격 진단실험을 통해 처음으로 바넘 효과를 증명했는데 이 때문에 포러 효과라고도 부른다.

포러는 먼저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을 대상으로 각각의 성격 테스트를 진행했다. 그 후 신문에서 점성술 난의 내용을 약간 수정하여 학생들에게 성격 테스트의 결과라며 나누어 주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그 내용이 맞는지 틀린지를 평가하라고 했는데 학생들은 같은 내용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자신의 성격과 잘 맞는다고 대답했다.

포러가 학생들에게 나눠 줬던 점성술의 내용은 보편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기술한 것에 불과했다. 하지만 그것이 자신의 특성이라 하면서 나누어 줬을 때 학생들은 그 보편적인 특성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착각하게 되었고 이로써 포러는 바넘 효과를 증명할 수 있게 됐다.

포러 효과는 애매하고 막연하게 보편적인 특성을 특정 대상의 성격으로 묘사하면, 그 대상은 자신을 제외한 다른 사람에게도 그 특성이 있는 지의 여부까지는 생각하지 못하고 자신만의 개성으로 믿으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어제까지는 힘들었지만 지금까지 노력했으니 내일은 행복해 질 것이다. 하지만 방심은 금물이다” 같은 보편적인 충고도 한 사람에게 운세 등으로 전달이 됐을 경우 자신의 이야기처럼 받아들여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또한 “행복해 질 것이다”라는 말처럼 자신에게 유리하거나 좋은 내용일수록 포러 효과는 더욱 강해지는 경향이 있다.

이처럼 포러 효과는 애매한 말에 자신의 상황이나 행동을 정당화 시키려는 인간의 심리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이를 맹신하면 현실 도피나 자기 합리화 등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때문에 심리테스트나 운세 등은 재미로 보거나 현재 힘든 상황에 대한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정도로만 참고하도록 하는 것이 현명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