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유학의 창시자 공자(孔子)는 ‘나이’를 자신만의 경험을 담아 새롭게 표현했고, 지금까지도 주요 세대를 구분 짓는 포인트로 여겨지고 있다. 

공자는 춘추시대 유학자로, 주나라의 예(禮)와 악(樂)을 정리하여 유학의 기초 경전을 정립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는 정치 실현을 목표로 수많은 제자들을 가르쳤다. 공자는 ‘논어’의 ‘위정편(爲政篇)’에서 자신의 경험을 담아 특별한 깨달음이 있던 나이를 재치 있게 표현했다. 

‘위정편(爲政篇)’에서 공자는 "15세가 되어서 학문에 뜻을 두었고(지학, 志學), 30세가 되어서 학문의 기초가 확립되었으며(이립, 而立), 40세가 되어서는 판단에 혼란을 일으키지 않았고(불혹, 不惑), 50세가 되어서는 천명을 알았으며(지천명, 知天命), 60세가 되어서는 귀로 들으면 그 뜻을 알았고(이순, 耳順), 70세가 되어서는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하여도 법도에 벗어나지 않았다(종심 從心)"고 하였다.

공자가 세대별로 깨달음을 얻었던 나이의 표현, 그 뜻은 이렇다. 먼저 지학(志學)은 나이 15세를 이르는 말로, '학문에 뜻을 둔다'는 말이다. 공자는 열다섯 살 때 학문에 뜻을 두었고 진로를 선택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약관(弱冠)은 20세를 이르는 말로, 과거 나이 스물이 되면 관례(冠禮)를 올려 갓을 쓰게 하고 성인(成人)으로 대접했다는 데서 유래했다. 

이립(而立)은 30세를 이르는 말로, 마음이 확고하게 도덕 위에 서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 즉 책임을 지는 나이를 지칭한다. 

불혹(不惑)은 40세를 이르는 말로, 세상일에 정신을 빼앗겨 갈팡질팡하거나 판단을 흐리는 일이 없게 되었음을 뜻한다. 

지천명(知天命) 50세를 이르는 말로, 천명이란 우주만물을 지배하는 하늘의 명령이나 원리를 말한다. 즉 산전수전 겪으며 살다보니 하늘의 명을 알았다는 뜻이다. 

이순(耳順) 60세를 이르는 말로, 귀가 순해져 사사로운 감정에 얽매이지 않고 모든 말을 객관적으로 듣고 이해할 수 있다는 뜻이다. 

종심(從心)은 70세를 이르는 말로, 마음이 시키는 대로 또 마음 가는 대로 행동해도 어떤 규율이나 법도·제도·원리 등을 벗어나지 않았다는 말이다. 나이가 많다고 함부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언제 어디서 어떻게 행하든 일정한 법도가 몸에 배었다는 뜻이다. 

공자의 지혜와 경험이 담긴 나이의 표현들. 세상 이치에 있어 ‘나이’만큼 공평한 것이 또 있을까. 누구 하나도 빗겨가지 않고 공평하고 똑같이 나이를 먹고 누구나 나이 들기 때문이다. 나이가 적다고 자만할 것도, 많다고 오만할 이유가 없다는 말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