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제주도에는 과연 언제부터 사람이 살았을까? 섬의 규모도 규모인데다 예부터 표류로 도착하는 사례들도 많았던 것을 보면 굉장히 오래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세상에나! 무려 선사시대부터 제주도에서는 문명의 흔적이 발견 되었다. 오늘은 제주의 유구한 역사의 증거, ‘제주 삼양동 유적’을 가본다.

제주 삼양동 유적은 그 주소부터가 남다르다. 제주시 선사로2길에 위치한 유적은 제주시의 동쪽, 삼양동의 동서 1.2-1.5㎞, 남북 0.5-0.6㎞의 2만여 평 범위에 분포하며, 해발 높이 12-14m 정도의 해안단구상의 편평한 대지에 자리잡고 있다.


처음 유적이 발견된 것은 삼양동 일대의 토지구획정리사업이 진행되면서이다. 1997년 4월부터 제주대학교 박물관에서 2년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청동기에서 초기철기시대를 전후한 시기의 집터 200여 곳과 돌로 쌓은 담장, 쓰레기를 버리던 곳 등이 확인 되었다. 거기에 제주에서는 만들어지지 않았던 중국계 유물들도 발견되어 이곳의 사람들이 한반도 등 여러 지역과도 활발하게 교류를 이어나갔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사적 416호인 삼양동 유적은 송국리형 움집터를 바탕으로 축조된 제주 지역 최대 규모의 마을 유적으로, 그만큼 수많은 유물들도 함께 나왔다. 각종 토기에서부터 동촉, 철기, 유리구슬, 돌도끼, 숫돌 등 생활용품에 보리와 콩, 비자 도토리 등의 곡물도 함께 출토되어 그들의 생활 상을 잘 엿볼 수 있다. 이 모든걸 잘 전시해 둔 박물관이 함께 위치해있으니 유적 터를 둘러보며 함께 관람한다면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유적지 바로 앞에는 예쁜 해수욕장이 하나 있다. 근데 보통 떠올리는 백사장이 아닌 흑사장, 즉 검은모래 해변이다. 삼양해수욕장의 검은모래는 예부터 신경통, 관절염, 비만, 피부염, 감기예방, 무좀 등에 효과가 있다고도 하며, 파도소리를 들으며 거닐다 보면 부드러운 모래의 질감에 나도 모르게 빠져들기도 한다.

주차장이 구비되어 있어 자차로 방문 할 수 있다. 버스를 타면 바로 유적 앞에서 내려줘 대중교통을 이용하기도 편하다. 그 옛날 이곳에 살던 이들은 아마도 백록담의 정기를 받으며 큰 바다를 품에 안고 하루하루를 살지 않았을까. 제주 삼양동 유적에 들려 그때의 사람들이 숨쉬던 공간을 함께 느끼며 역사 속으로 빠져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일부 시설을 이용하지 못할 수도 있기에 가기 전 홈페이지나 유선을 통해 꼭 확인하고 방문하는 것이 좋겠다. 반드시 마스크를 쓰고 사회적 거리 두기 등 방역지침을 준수해 코로나19 감염 예방에 적극 동참하도록 하자.
*시선뉴스에서는 여러분의 아름다운 사진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보도자료 발송 및 기사제휴 ▶ sisunnews@sisunnews.co.kr
문의 ▶ 02-838-5150
- [무비레시피] 최민식의 천만 영화, 이순신의 이야기 ‘명량’
- [시선★피플] 코미디언이 감독을? 편견 깨고 싶다... 영화감독으로 돌아온 '박성광'
- [어바웃 슈퍼리치] 천연성분의 이로운 화장품, 러쉬(LUSH)의 창업자 '마크 콘스탄틴'
- [영화평점] 그가 돌아왔다, 다 같이 외쳐 '샤잠! 신들의 분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