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 완연한 봄인 4월에는 산불과 등산사고, 황사에 주의해야 한다. 행정안전부는 4월에 중점 관리할 재난안전사고 유형으로 산불과 등산사고, 황사를 선정하고 피해 예방을 위해 국민에게 각별한 주의를 요청하였다.

산불
4월은 산불로 인한 피해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시기다. 최근 10년(‘11~’20년) 동안 발생한 산불 건수는 3월(평균 129건)이 4월(평균 104건)보다 1.2배 정도 많았지만, 최근에는 4월 산불이 늘고 있는 추세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간 피해면적을 보면 4월에만 연중 절반(10년 평균 53.0%) 이상이 발생하였고, 특히 2019년에는 총 피해면적의 92.1%, 2020년에는 72.0%가 발생했다.

본문과 관련 없음. [사진 / 픽사베이]

산불을 예방하려면 ① 산불 위험이 높아 입산이 통제되거나 폐쇄된 곳은 산림청 누리집 등을 통해 미리 확인하여 출입금지 ② 산에는 성냥·라이터 등 화기물을 가져가지 않고 흡연 금지 ③ 산에서 취사, 야영 금지(지정된 야영장과 대피소만 가능) ④ 산불 발견 시 119 및 산림관서로 즉시 신고 등에 유의해야 한다.

등산사고
4월은 새순이 돋고 봄꽃이 피는 시기로 산행 인구가 늘어나며 등산사고 위험도 증가한다. 최근 5년(‘15~’19, 합계) 동안 발생한 등산 사고는 총 34,671건이며, 25,770명(사망‧실종 886명, 부상 24,884명)이 죽거나 다쳤다. 이중 4월의 등산사고는 2,784건(최근 5년)으로 3월(2,158건)과 비교하여 1.3배(626건) 정도 증가하였다.

원인은 발을 헛디디며 발생하는 실족과 추락이 33.7%(총 34,671건 중 11,690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등산로를 잃고 헤매는 조난이 19.8%(6,855건)를 차지하였다. 산림별로는 주변에서 쉽게 오를 수 있는 야산에서 전체사고의 61.2%가 발생했기 때문에 평소 다니던 동네 야산을 갈 때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생활 주변의 야트막한 야산을 갈 때도 가볍게 생각하지 말고, 등산화를 신고, 근육과 인대를 부드럽게 풀어준 후 산행하도록 한다. 특히 이른 아침 시간에는 이슬이나 서리가 내려 등산로가 다소 미끄러울 수 있으니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황사
4월은 계절풍을 타고 날아오는 황사 발생이 잦은 시기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황사의 절반(50%) 정도는 고비사막(내몽골)과 발해만(요동반도)을 거쳐서 날아온다. 최근 5년(‘15~’19, 평균)간 4월에 발생한 황사는 1.4일로 다소 낮았지만, 30년(‘81~’10, 평균) 자료에 따르면 4월에 연중 가장 많은 2.5일이 발생하였다. 4월은 황사와 섞여 날아오는 각종 먼지와 꽃가루 등으로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는 때이다. 최근 10년(‘10-’19년)간 미세먼지 대기오염도는 해마다 비슷하지만, 경보 발령 횟수는 늘고 있어 주의하여야 한다.

황사가 예보되거나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외부 먼지가 실내로 들어오지 않도록 창문 등을 단속하고, 외출 후에는 얼굴과 손, 발 등을 깨끗이 씻도록 한다. 농촌에서는 비닐하우스와 축사 등의 환기창을 점검하고, 방목장의 가축은 축사 안으로 대피시키고 출입문은 닫아야 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