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한성현 / 구성 : 심재민 선임기자, 김아련 기자]시청자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우리 사회의 뜨거운 이슈를 다각적으로 살펴보는 이슈체크입니다. 지난 2월에는 취업자가 1년 1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통계청의 발표에 따르면 2월 취업자는 2천 634만 6천 명으로 1년 전보다 약 26만명 늘어 지난해 1월 이후 최대 폭을 기록했습니다. 하지만 청년실업률은 여전하고 60세 이상의 노인들의 취업률만 증가해청년층의 일자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오늘 이슈체크에서는 일자리 정책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고용노동부의 입장을 들어보겠습니다. 먼저 첫 번째 이슈체크에서 현재 취업 상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지난달에는 정체기를 겪던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나이 대 별로 늘어난 취업자 수를 보면 60세 이상에서만 무려 약 39만명이 늘었고 실제로 30대와 40대의 취업자는 각각 약 12만 명 정도 감소했습니다. 특히 공공 일자리 확충이 큰 영향을 미쳐 세금으로 만든 선심성 일자리정책이라는 말도 나오고 있습니다.

공공일자리로 어느 정도 취업자수를 끌어올리기는 했지만 이것이 얼마나 장기적으로 유지될지도 알 수 없다는 비판까지도 나오고 있는데요. 또 수치가 유지된다고 하더라도 민간 일자리는 늘지 않아서 청년층의 체감 실업률은 여전합니다.

실제 통계에 따르면 국민들의 체감 실업률은 13%에 이르고 특히 15살에서 29살 청년층의 체감 실업률이 24.4%로 나타났습니다. 또 청년층에서는 일자리 부진이 장기화 되고 있고 공식 실업률과 체감 실업률의 괴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상황이 이러자 실질적인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공 일자리를 통한 숫자 늘리기가 아니라 민간일자리를 늘려 청년층의 실업률을 해소시켜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두 번째 이슈체크에서는 다양한 비판에 대한 전문가와 고용노동부의 입장을 정리해 봤습니다.

전문가들은 공공 일자리사업 등 취약 계층이 받는 충격을 줄이는 정부 노력을 의미 있게 평가하되 경기를 부양하거나 민간이 적극 채용에 나설 수 있도록 긍정적 신호를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에 따르면 성태윤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늘어난 취업자 가운데 10만 명 정도는 재정 투입에 따른 추가 취업자로 추정 된다"며 "재정 영향을 제외한 취업자는 여전히 3분의 1 수준으로 생각할 수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이어 성 교수는 "추가 일자리를 만들려면 기업이 움직여야 한다. 노동비용 부담을 의식해 새로운 투자나 고용을 꺼리고 있는데 향후에 이와 관련해 추가 충격이 없다고 느끼도록 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 현대경제연구원 관계자는 "선제적인 금리 인하, 추경 편성, 감세 정책 등 경기 부양책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의견을 밝혔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취약 계층을 지원하면서 민간일자리 확대에도 노력하겠다는 입장입니다.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는 "일자리 창출의 주역인 민간의 활력 제고를 위해 수출대책, 투자 활성화, 산업혁신 등 정책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고 고용시장을 분석해 취약 요인에 맞게 맞춤형 정책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사진/연합뉴스 제공)

취업자 수. 그러나 한국 경제의 허리로 볼 수 있는 제조업과 30~40대 취업자 감소세는 여전한 상황이라 비판이 적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에 대해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의 실질적인 입장을 듣기 위해 여러 번 인터뷰를 시도했으나 아쉽게 답변을 듣지 못했는데요. 60대 이상 취업자 증가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함께 보완책 마련, 그리고 무엇보다 이에 대한 적극적인 소통이 필요해 보였습니다. 이상 이슈체크 김아련이었습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