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정혜인 수습 기자ㅣ지난해 11월, 서울시는 12년 만에 ‘서울항’을 만들겠다는 계획을 꺼냈다. 2010년 추진되었던 ‘서울항 프로젝트’가 오세훈 서울시장의 ‘그레이트 한강’이라는 이름 아래 다시 세상에 나온 것이다. 이 프로젝트에 대해 서울시는 ‘자연과 공존하는 한강’을 표방한다고 말하지만, 각 분야의 전문가들은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서울항 프로젝트’는 여의도에 있는 여객선 선착장을 더 키워 국내선과 국제선이 드나드는 터미널로 만들겠다는 게 골자로,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는 한강 수변 공간을 휴식과 문화예술 중심의 여가 공간으로 만드는 개발계획이다. 이는 오세훈 서울시장이 2007년 재임 시절 발표한 ‘한강 르네상스’의 후속 성격도 지닌다. 서울시는 다시 시작된 ‘서울항 프로젝트’는 서해, 동북아시아를 잇는 서해 뱃길의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함이라고 밝혔다. 

[사진/서울시 제공]
[사진/서울시 제공]

2010년 당시 ‘한강 르네상스’의 일환으로 진행된 ‘서울항’ 사업은 2012년 대규모 토건 사업에 부정적인 입장인 박원순 전 시장이 취임하면서 무산된 바 있다. 서울시는 이번 사업을 추진하면서 지난 2월에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서울시의회 연구단체 서울살림포럼이 연구용역을 맡기면서 작성한 과업 지시서에는 사업 재추진을 위해선 그간의 여러 변화를 반영해 사업 타당성 재검토가 이뤄져야 한다는 내용이 담겨있었다.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항’ 재검토 가능성에 대해 언급했다. 지난 15일 서울시의회 제319회 정례회 시정 질의에서 서울시의회 더불어민주당 박수빈 의원(강북구 제4선거구, 행정자치위원회)이 ‘서울항’ 조성 재검토 의향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대해 오 시장은 추후 사업 재검토 의향이 있다고 확답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의문을 제기했다. 우선 미국과 유럽의 경제정책 방향상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중국과 거리 두기를 요구받고 있고, 중국은 군사적 외교적 이슈가 발생하면 관광 산업을 보복 수단으로 삼아왔다고 말했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중국인 관광객과 중국 노선으로 수익성을 확보하려는 ‘서울항’의 비전이 장기적 관점에서 안정적으로 경제성을 담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뿐만 아니라 ‘그레이트 한강 프로젝트’가 계승한 ‘한강 르네상스 사업’은 환경적 측면에서도 비판을 받아왔다. 2012년 환경 전문가들이 발간한 ‘한강 르네상스 비판 백서’에는 생태계 복원을 위한 노력은 미흡하고, 전시성 사업 과다로 예산을 낭비했다는 평가가 있다. 또한 환경단체는 ‘서울항’에 대해 수질오염 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크루즈 진입이 어려운 한강의 수심도 문제 되는 지점이다. 5,000톤급 선박을 운용한다고 가정하면 6.3m 깊이의 수심이 필요한데, 현재 한강의 수심은 3~4m가량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지난해 ‘서울항’ 발표 당시 선박의 크기로 선폭 20m 이내, 높이 10m 이내, 흘수(물에 잠기는 부분) 4.5m, 길이 130m 이내 기준을 예상한다고 말했지만 아직까지 결정된 바는 아니다. 

서울항의 사업 방식도 아직 논의 중이다. 지난해에는 민간투자를 허용해 복합문화명소로 만들겠다고 했으나, 최근엔 공공의 예산이 투입돼야 하는 재정사업과 민간투자사업 방식을 비교해 최적의 사업방식을 제시하겠다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민간에 위탁할지 공공이 할지는 연구용역이 끝난 후에 결정될 예정이다. 

‘서울항 프로젝트’가 여러 비판과 충돌하는 가운데, 시민들은 우려 섞인 기대를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꼼꼼히 검토하고 객관적으로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앞으로 시민의 요구와 전문가의 의견을 반영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사람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