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조재휘 수습기자/ 디자인 김미양] 점점 추워지는 날씨가 따뜻한 간식을 생각나게 만든다. 겨울 하면 맛있는 간식들이 많지만, 그중에서 호떡은 대표 간식 중 하나이다.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맛도 좋아 남녀노소 모두에게 인기가 있기 때문이다.

쫀득쫀득한 식감과 함께 달콤한 맛은 추위도 잊게 만들며 유명한 집에 가면 줄까지 서서 먹어야 한다. 이 호떡은 과연 언제부터 먹은 것일까? 그 역사에 대해 알아보자.

호떡은 보통 길거리 음식이거나 중국에서 전해진 시장 음식으로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호떡의 이름을 살펴보면 호떡의 호는 오랑캐를 뜻한다. 중국인들은 지금의 중앙아시아와 아랍 사람을 일컬어 호인이라고 불렀다. 이렇듯 호떡은 오랑캐인 호인들이 만들어 먹던 떡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쌀보다 밀이 더 많이 생산되는 지역에 살았던 오랑캐들은 밀가루를 반죽해 화덕에 굽거나 기름에 튀겨 먹었다. 후한서 <오행지>에는 서역의 풍속에 빠져 지낸 영제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는 서역의 옷을 입고 호떡을 먹었으며 황실의 친척과 귀족들이 모두 그 모습을 따랐다고 한다.

그리고 일본의 한 승려가 당나라에서 수행할 때 쓴 기행문을 보면 입춘을 기념해 황제가 절에 특별 선물로 호떡을 보냈다는 기록이 나온다. 이렇게 보듯 호떡은 군것질거리가 아니라 귀족들이 먹던 고급 요리였던 것이다.

호떡은 실크로드를 통해 중앙아시아와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오기까지 먼 길을 걸어왔다. 우리나라에 처음 전해진 시기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는 않지만, 화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오면서부터 호떡도 본격적으로 들어온 것으로 추정된다.

1882년 임오군란이 일어나자 청나라가 조선에 육군 3,000여 명을 파견했는데 이때 수십 명의 청나라 상인들도 같이 들어왔다. 이후 청나라가 망한 뒤에도 본토로 돌아가지 않고 남은 상인들이 생계를 위해 음식점을 열고 만두와 호떡 같은 음식을 팔기 시작했다.

이들은 점차 우리나라 사람들 입맛에 맞게 조리법을 변형해서, 호떡 안에 조청이나 꿀, 흑설탕 등을 넣어 팔았다. 인천 제물포에서 처음 만들어 팔기 시작한 한국식 호떡은 화교들이 모인 서울 명동 중국 대사관 주변이나 종로 거리 등으로 차츰 퍼졌다.

그리고 1920년대 일제강점기 당시 대형 건설 현장이 늘어나면서 짐꾼, 광부, 인력거꾼 등의 노동자를 일컫는 쿨리들이 중국에서 한국으로 대거 넘어왔다. 한국에 정착해 있던 화교들이 재빨리 팔기 좋은 음식이 호떡이었는데 쿨리를 대상으로 팔리던 호떡은 쿨리들이 떠난 뒤에도 우리 입맛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되면서 우리나라의 국민 간식으로 자리 잡게 된 것이다.

그리고 한국전쟁 때 부산으로 피난 온 피난민들이 호떡 안에 여러 종류의 곡물 씨앗을 넣어 먹기 시작했다. 그것이 유래가 되어 1980년대 후반 남포동에서 각종 견과류를 넣어 판매하면서 씨앗 호떡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이 밖에도 군산의 중동호떡, 아산의 삼색호떡, 속초의 찹쌀씨앗호떡 등 지역을 대표하는 호떡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렇게 시간이 흘러도 호떡은 여전히 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시대가 변한 만큼 호떡의 모습도 조금씩 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지금 군침만 흘리고 있지 말고 호호 불어가며 먹는 따끈한 호떡을 먹으며 추위를 잠시나마 잊어보는 것은 어떨까.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