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백세시대’에 접어들면서 퇴행성관절염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퇴행성관절염 치료 역시 흔해졌다. 체중을 지탱하는 무릎 연골이 모두 닳아 없어지면 뼈와 뼈가 부딪쳐 생기는 통증으로 인해 걷는 게 고통스러워진다. 구부리고 펴는 무릎이 아프면 일상생활에도 어려움이 생긴다. 퇴행성관절염을 방치하면 통증으로 독립적 활동에 제약이 생기고 일상에서 사회적 활동이 줄면서 우울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통계에 따르면 한국 65세 인구 중 약 80% 정도가 퇴행성관절염을 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 질환이라고까지 불리는 퇴행성관절염의 경우 75세 이상 고령층 대부분이 방사선 검사상 퇴행성관절염의 소견을 보이고 있고 이러한 소견을 보이는 노인들 가운데 약 1/4 정도가 임상적인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행성관절염은 관절을 이루고 있는 연골이 닳아 없어지거나 찢어져 뼈가 노출되거나 무릎 관절 주변 염증에 의한 변형이 생겨 발생하는 질환이다.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지만 연골 손상 정도에 따라 통증이 심화한다. 특히, 무릎에 많이 나타나는 연골 손상인 퇴행성관절염은 심하면 다리 모양까지 변형시킬 수 있다.

초기 단계에서는 보존적 치료가 시행되는 데 우선 약물 치료보다는 좋지 않은 생활 습관을 교정하고 체중을 감량하며 근력 유지를 위한 운동을 해볼 수 있다. 하지만 잠을 못 이룰 정도로 통증이 심하고 물리치료나 약물치료에도 호전되지 않으며 다리가 O자형 또는 X자형으로 심하게 변형된 퇴행성관절염 말기에까지 이르면 인공관절 수술이 불가피하다. 인공관절은 뼈가 서로 닿지 않도록 보철하듯이 금속으로 위아래 뼈를 감싼 후 그사이에 강한 플라스틱을 삽입하여 인공으로 관절을 만드는 것이다.

기존 수술법은 모양만을 측정해 수술을 진행했기 때문에 무릎 균형에 오차가 발생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술할 때 무릎 주변 인대 등 연부조직의 균형까지 고려해 인공관절을 삽입한다.

인공관절수술은 환자마다 무릎 모양도 제각각이고, 상태에 따라 변형까지 나타나기 때문에 정확한 관절 균형을 맞추기까진 상당히 고려해야 할 요소가 많다. 수술이 까다로운 만큼 주치의의 임상경험, 무수혈수술 가능 여부, 철저한 감염관리 등을 신중히 따져봐야 한다.

도움말 : 강북연세병원 김용찬 병원장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