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이은 눈 소식과 한파에 빙판길 낙상사고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 특히 노년층은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 자체가 약한 데다 돌발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어려워 작은 넘어짐에도 큰 부상을 입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넘어지거나 부딪히는 바람에 고관절 골절이나 요추, 골반 부상을 입어 병원 신세를 진 환자가 250만명이 넘는다. 환자들의 연령대를 살펴보면 무려 69%가 60세 이상 노년층으로 밝혀졌다. 고관절 골절 등을 당한 환자 3명 중 2명은 노년층이란 의미가 된다.

노년층의 고관절 골절은 단순히 뼈가 부러진 것이 아니라 환자의 생명을 좌우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상황이다. 해마다 65세 이상 노인 83만여 명이 낙상 사고로 사망하고 있으며 사고 사망 원인 2위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낙상사고의 위험이 높다. 게다가 노년층은 골절 후 회복에 걸리는 시간이 길기 때문에 더 어려움을 겪는다. 고관절은 골반과 하지를 연결하여 보행 시 체중을 지탱하는 역할을 수행하는데 이 부분이 골절되어 버리면 거동이 어려워지고 순식간에 체력이 떨어져 쇠약해질 수 있다.

고관절 골절로 인한 건강 이상을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빠른 치료가 필수적이다. 고관절 골절은 수술로 치료해야 하는데 수술을 한다 하더라도 뼈가 붙는데 최소한 3개월에서 6개월 이상 걸린다. 이렇게 바로 치료를 하더라도 회복 되는 과정에서 욕창이나 혈전으로 인한 건강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체력이 약해져 폐렴 등의 질환에도 더욱 취약해진다. 통계에 따르면 고관절 골절 후 합병증으로 인해 2년 내에 사망할 확률이 약 20%에 달한다.

사망에 이르지 않더라도 근육 위축 등 전신적인 합병증이 발생하면 사고 전 몸 상태를 온전히 회복하기 어렵다. 이러한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줄이고 조금이라도 회복 기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사고 직후 수술 치료를 진행해야 한다. 사고 후 수술을 빨리 받을수록 사망률, 합병증 발병률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하루 내지는 이틀 안에 고관절 수술을 받아야 한다.

또한 수술 후 통증이 느껴진다 하더라도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재활 운동 등을 성실히 해야 건강을 지킬 수 있다. 아프다는 이유로 누워 있기만 하면 근육이 더욱 빠르게 소실되어 체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환자와 보호자가 함께 회복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도움말 : 연세백퍼센트병원 황보현 원장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