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 한국천문연구원 문홍규 박사팀이 지구의 공전궤도 근처를 지날 수 있는 궤도를 가진 소행성 2개를 발견했다. 이 중 한 소행성은 지구충돌 확률이 28억분의 1에 달해 국내 최초로 국제천문연맹(IAU) 소행성센터가 '지구위협소행성'(PHA)으로 분류했다. 

25일 문 박사 팀은 작년 8월 칠레, 호주, 남아프리카공화국 관측소에서 운영하는 지름 1.6m급 외계행성탐색시스템(KMTNet) 망원경 3기로 이 소행성들을 찾았다고 밝혔다. 두 소행성은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MPC)에서 각각 '2018 PM28', '2018 PP29'라는 임시번호를 받았다.

PM28의 지름은 20~40m 사이로 추정되며 44일간 궤도운동을 추적한 결과 궤도운동 중 태양까지의 최소거리(근일점 거리)가 1.3AU(약 1억9천500만㎞)보다 가까운 것으로 확인됐으며 이런 소행성을 국제천문연맹 소행성센터는 근지구소행성(NEA)으로 분류한다.

이 소행성은 지구와 비슷한 궤도로 공전하는 것이 특징인데 근지구소행성의 궤도는 대부분 긴 타원형이며 궤도 평면은 지구 공전면에서 벗어나 있어 최소 100년간은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없다. 

천문연구원은 "PM28은 알려진 근지구소행성 가운데 원궤도에 가깝기로는 상위 1%, 지구 공전궤도 면과 가까운 상위 10% 안에 들고 궤도 장반경은 1.026AU로 지구 궤도장반경인 1AU에 가까운 상위 2% 내"라며 "이런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소행성은 현재까지 총 9개가 발견됐다"고 밝혔다. 

28억분의 1의 지구 충동 확률을 갖고 있는 2018 PP29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28억분의 1의 지구 충동 확률을 갖고 있는 2018 PP29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반면 PP29의 경우 28억분의 1에 불과한 확률이지만 2063년과 2069년 각각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 소행성의 지름은 160m 정도로 추정되는데, 이보다 작은 지름 140m급 천체의 경우 지구에 충돌하면 충돌점에서 반경 수백㎞ 지역까지 재난을 초래할 수 있어 국제 천문연맹 소행성센터는 이 소행성을 '지구위협소행성'(PHA)으로 분류했다. 

PP29의 궤도는 긴 타원 형태이며 공전 주기는 5.7년이다.

연구진은 2016년부터 천문연이 2015년부터 운영하는 남반구 천문대 네트워크 ‘KMTNet’을 이용하여 태양계 행성들이 지나다니는 공전궤도면 부근인 황도대를 관측하는 '남천 황도대 집중탐사연구'(DEEP-South)를 진행하고 있다. 

KMTNet은 보름달 16개가 들어가는 넓은 하늘을 한 번에 촬영하는 카메라를 탑재해 외계행성 탐색과 소행성 탐사 관측에 유용하다. 

두 소행성을 발견한 정안영민 박사는 "지구위협소행성을 발견한 것은 우리나라에선 이번이 처음"이라며 "이런 발견은 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광시야 망원경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전했다. 

28억분의 1이라는 매우 미미한 가능성이지만 지구와 충돌할 수 있는 소행성의 국내 최초 발견은 우리 우주과학사에 의미하는 바가 많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