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 / 디자인 이정선] 삼일절 100주년을 맞아 한 설문조사가 눈길을 끌고 있다. 정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기념일인 4월 11일을 임시 공휴일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6명이 임시 공휴일 지정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지난 25일 여론조사 업체 리얼미터에 따르면, CBS 의뢰로 전국 19세 이상 성인 501명에게 임시정부 수립일의 임시 공휴일 지정에 대한 국민 여론을 조사한 결과, 찬성 응답이 62.2%(매우 찬성 39.6%, 찬성하는 편 22.6%)로 나타났다. 반대는 27.8%(매우 반대 12.2%, 반대하는 편 15.6%), '모름/무응답'은 10.0%다.

일제강점기의 아픈 역사를 가진 우리 민족에게 대한민국임시정부는 특별하다. 3·1운동 이후 일본 통치에 조직적으로 항거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4월 11일 임시의정원을 구성하고, 각도 대의원 30명이 모여서 임시헌장 10개조를 채택. 4월 13일 한성임시정부와 통합해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선포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지방행정제도인 연통제를 바탕으로 서울에 총판을 두고 각 도/군/면에 독판/군감/면감을 두었다. 이에 따라 국내에는 9개도 1부 45개 군에 조직을 두고 만주에는 3개 총판부가 있었다. 연통제의 업무는 법령 및 공문의 전포, 군인 모집, 시위운동 계획, 애국성금 갹출운동 등 다양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임무는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는 외교활동이다. 대표적으로 1919년 4월 18일 김규식을 전권대사로 파리강화회의에 파견하였고, 7월에는 스위스에서 열리는 만국사회당대회에 조소앙을 파견하여 한국독립승인결의안을 통과시켰다. 

특히 1928년까지 유럽과 미주의 외교업무를 맡은 구미위원부는 미국 국회에 한국 문제를 상정시키고 1921년 워싱턴에서 개막된 태평양회의에서 한국국민의 상황을 세계 여론에 알리기도 했다. 그렇게 1943년 카이로 회담에서 한국의 독립이 정식으로 승인되자 1944년 프랑스, 폴란드, 당시 소련 정부는 주중대사관을 통해 임시정부의 승인을 통고했고 1945년 포츠담선언에서 한국의 독립은 재차 확인되었다.

두 번째,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제에 맞서 꾸준하고 강력하게 항일독립전쟁을 펼쳤다. 대표적인 것이 의열투쟁과 독립군 단체지원/광복군창설 등의 군사 활동인데, 의열투쟁의 본보기는 이봉창과 윤봉길, 안중근 등의 의거이다. 이를 바탕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한국 독립에 대한 여론을 대외적으로 널리 알렸다.

세 번째,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세계 속에 정식적인 군사 활동도 이어나갔다. 1920년 상하이에 육군무관학교, 비행사양성소, 간호학교 등을 세워 군사를 양성하고, 중국 군관학교에 군인을 파견하여 교육시키고 만주에 있는 독립군을 후원했다. 또 1941년 태평양전쟁이 일어나자 일본과 독일에 각각 선전포고를 하고 군대를 연합군의 일원으로 각지에 파견했으며 1944년에는 군사협정을 체결하고 독자적인 군사 행동권을 얻었다. 

이처럼 일제에 항거해 독립 의지를 세상에 뚜렷이 알리고, 강력하게 독립전쟁과 군사 활동을 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 때문에 당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일제에게는 갖은 핍박과 모진 공격을 받아 여러 곳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 1945년 8·15광복까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상하이(1919), 항저우(1932), 전장(1935), 창사(1937), 광저우(1938), 류저우(1938), 치장(1939), 충칭(1940) 등지로 청사를 옮기며 광복운동을 펼쳤다.

자유 대한민국의 모태인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그 뜨거운 흔적을 현재에도 중국 곳곳에서 살펴볼 수 있다. 대표적인 곳은 상하이에 위치한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좁은 주택가 골목 한쪽에 위치한 허름한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일본의 핍박 속에서 주권을 되찾고자 노력했던 선조들의 독립의지에 뜨거운 그 무엇을 느낄 수 있다. 

3·1운동 100주년을 맞은 대한민국. 3·1절 하루만큼은 지금 우리가 당당히 대한민국 국민으로 세계 속에 자리할 수 있는 것은 무엇 때문인지 곱씹어 보는 의미 있는 날이 되기를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