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박진아] 지난 4월 국토교통부는 갑자기 수도권 광역 버스의 입석 운행을 중단시켰다. 아무런 대책도 없이 덜컥 입석금지를 발표한 것이다. 시민들은 출근길 대란을 겪었고, 국토부의 긴급 버스 증설 등의 대책에도 교통대란은 해결될 기미가 조금도 보이지 않았다.

그렇게 시간이지난지 한 달 만에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 금지가 전격 폐지된다. 당장 이달 말 서울‧수도권 148개 대학이 개강을 앞두고 있어, 입석 금지 조치가 도리어 교통 혼잡을 초래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국토부는 ‘입석금지’라는 강한 정책만 내세웠을 뿐 대책은 아무것도 마련하지 못했다. 출근길 지각을 하는 사람들이 속출했고, 1시간씩을 기다려도 버스를 타지 못하는 상황도 초래했다. 정류소의 모습은 흔히 민족 대이동이라 불리는 명절 때 터미널의 모습 못지않은 그림이 펼쳐졌다.

정치권과 전문가 그룹에서는 49인승이나 2층 버스 같은 대형 버스 도입 및 환승시스템 확보 등의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비난의 목소리도 흘러나왔다. 이 뿐만이 아니었다. 입석금지로 인해 버스 수입은 20% 가까이 줄었고, 이는 곧 버스요금 인상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박근혜 대통령으로부터 국민을 실험 대상으로 한 것이냐는 질책을 받은 국토부는 입석을 재허용하면서도 한시적인 유예 조치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시스템이 정비될 때까지는 상당히 긴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광역버스 입석 금지 조치는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수도권의 한 버스회사가 입석 제한을 하면서 시작됐다.

대부분 광역버스는 시속 90km이상 속도로 달리고, 이런 속도에서 좌석벨트를 메지 않았을 경우 사고가 날 경우 상해 확률은 벨트를 착용한 사람에 비해 18배에 달한다고 한다. 이러니 입석 상태라면 더 위험하고 심각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는 점은 우리가 명심하고 있어야 하는 부분이다. 때문에 입석금지 정책을 무조건 비판할 수는 없다.

하지만 분명히 해야 하는 것들은 있다.

시민들의 출퇴근 시간대와 정확한 수요 조사가 이루어 져야 하는 것은 기본이고, 버스회사의 수익감소 역시 미리 예상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안전’을 화두로 시작된 입석금지 정책인 만큼, 버스회사들의 안전한 운행에도 신경 써야한다. 승객이 버스를 향해 걸어오고 있는 모습이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일부러 시선을 회피한 채 급하게 출발해 버리는 행위. 승객이 카드를 채 찍기도 전에 출발하고, 하차를 제대로 하기도 전에 출발하는 행위들은 마땅히 고쳐져야 하기 때문이다.

2014년의 화두는 역시 ‘안전’이다. 안전을 위한 정책과 안전운전이 꼭 필요한 시점이다.

지식교양 전문미디어 - 시선뉴스
www.sisunnews.co.kr

SNS 기사보내기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