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호] 음주운전 혐의로 기소된 운전자가 술이 얼마나 취해 있었는지 단정할 수 없더라도 당시의 행동이나 정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유죄 여부를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1부는 25일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기소된 김모씨에게 무죄를 선고한 원심을 깨고 유죄 취지로 사건을 대구지법 형사항소부로 환송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2012년 9월 22일 오전 8시30분께 대구 시내의 한 음식점 앞 도로에서 약 200m 구간을 혈중알코올농도 0.158%의 상태로 승용차를 운전한 혐의로 기소됐는데 경찰은 김씨가 새벽 4시30분께부터 술을 마셨다고 추정했었지만 김씨는 마지막으로 술을 마신 시점이 오전 8시10분이라고 주장했다.

1·2심은 음주 후 30∼90분 사이에 혈중알코올농도가 최고치에 이른다는 일반적 기준을 적용하여 사고 당시 김씨의 혈중알코올농도가 처벌기준인 0.1% 이상이었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무죄를 선고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운전 시점과 혈중알코올농도의 측정 시점 사이에 간격이 있다 하더라도, 그러한 사정만으로 실제 운전 시점에 처벌기준치를 초과한다는 점에 대한 입증이 불가능하다고 볼 수는 없다"고 판단했다. 또한 "운전 당시 처벌기준치 이상이었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는 운전과 측정 사이의 시간 간격, 단속 당시 운전자의 행동, 교통사고가 있었다면 그 경위 및 정황 등 여러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합리적으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은 당시 주차된 차를 충돌하고도 이를 전혀 인식하지 못했고 경찰관도 피고인이 만취 상태였다고 진술했다"며 "따라서 적어도 혈중알코올농도 0.1% 이상의 상태였다고 봄이 타당하다"고 판단했다.

혈중 알콜 농도는 0.1% 이상이면 만취상태로 본다.

지식교양 전문미디어 - 시선뉴스
www.sisunnews.co.kr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