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유진 인턴] 일제강점기 시절, 일제로부터 많은 핍박과 수난을 겪으면서 우리 조상들은 국권 회복을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빼앗긴 국권을 다시 찾기 위해서는 힘과 실력을 길러야 한다는 의견이 강했다.

19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일제에 저항하기 위해 전국에선 항일 의병들이 투쟁하기 시작했다. 의병투쟁 외에도 교육이나 언론 등의 문화적인 분야에서 애국심과 근대 의식을 고취시켜 자주적으로 국권을 회복하자는 애국계몽운동이 일어났다.

이러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서, 일제의 경제적 예속에서 벗어나고자 일어났던 운동이 바로 ‘국채보상운동’이다. 국채보상운동은 조선 말 일제의 경제침탈에 국민들이 함께 일어나 저항했던 운동으로, 1907년부터 1908년 사이에 국민들의 모금으로 나라의 빚을 갚기 위해 전개된 국권회복운동이다.

▲ 국채보상운동이 실린 대한매일신보(출처/위키피디아)

그렇다면 국채보상이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무엇일까. 일본은 1894년 청일전쟁이 발발했을 때부터 차관공세를 제기했고, 이는 1904년 제 1차 한일협약 이후 더 본격화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재정을 일본 재정에 완전하게 예속시키고, 차관으로 식민지 지배를 위한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에 일본은 우리나라의 경제권을 장악하기 위해서 교육제도 개선, 도로·항만시설 개수 확충, 금융기관 확장 등의 명목으로 높은 이율의 차관을 들여왔다. 결국 재정 고문으로 부임한 메카타에 의해 1907년까지 1300만 원 가량의 차관을 도입했다. 이는 대한제국의 1년 예산과 거의 비슷한 액수였다고 할 만큼 거금으로, 우리 정부와 국민들의 경제적 자주권을 침해하는 수준으로까지 이르렀다.

결국 경제자립을 위한 운동을 전개할 수밖에 없는 안타까운 상황에 놓이게 되었고, 1907년에 이르러 김광제와 서상돈에 의해 대구에서 국채보상운동이 시작되었다. 이 둘은 대한매일신보에 3개월 동안 담배를 사지 말고 그 돈을 모아 국고를 갚자는 취지문을 발표했고 국채 보상 기성회를 중심으로 각종 애국 계몽단체와 언론기관이 모금 운동에 참여했다.

전국적으로 활발하게 전개되었던 국채보상운동은 각계각층에서 참여하는 범국민적인 운동이었다. 모금을 위한 국민적 금연 운동이 시작되었고, 부녀자들은 비녀와 가락지, 패물까지 내놓으며 참여했다. 뿐만 아니라 당시 왕이었던 고종을 비롯해서 고위관료들과 노동자, 기생, 백정 등의 하층민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07년 10월까지 활발하게 진행되던 국채보상운동은 결국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1908년에 들어서면서 점차 쇠퇴하기 시작했다. 일제는 베델(대한매일신보 창간인)을 국외로 추방하려 했고 ‘국채보상금소비사건’을 조작해 양기탁을 누명을 씌워 구속했다. 양기탁은 증거 불충분으로 무죄를 선고받았지만 이러한 일제의 탄압으로 국채보상운동의 주체가 분열되고 와해되면서 결국 끝이 났다.

이렇게 결국 실패로 끝이 났지만, 국채보상운동은 국권 회복을 위해 전 국민이 한마음으로 참여했던 자발적인 운동이었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의미가 크고 본받을만한 운동이다. 요즘처럼 혼란스러운 사회에서 국민들의 마음이 하나로 모여야 할 때, 국가를 위한 일에 하나로 뭉칠 수 있었던 우리 조상들의 애국심을 보고 배워야 할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