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득세 감면 혜택이 지난 연말로 끝나면서 새해 초 주택시장 거래가 아예 실종되면서 미국의 재정절벽에 빗댄 ‘거래 절벽’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다.

서울의 일부 아파트는 한달 만에 호가 기준 최고 6000만원까지 떨어져 부동산 업계에서는 이런 추세로 가면 이달 중 실거래 가격도 급락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6일 부동산정보업체 ‘닥터아파트’ 조사를 보면, 서울 강동구 둔촌동 둔촌푸르지오 공급면적 138㎡의 호가는 취득세 감면 영향으로 수요가 늘어나며 거래가 반짝했던 지난해 11월 말 8억2000만원에서 현재 7억6000만원으로 한달 만에 6000만원(7.3%)이 내렸다.

또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아파트 공급면적 128㎡는 11월 말 12억6500만원에서 현재 12억원으로 호가가 5.1% 떨어졌다. 분당새도시 서현동 시범현대 261㎡는 10억2500만원에서 9억8000만원으로 4.4% 내렸다.

주택 취득세는 지난해 말까지 9억원 이하 1주택은 2%에서 1%로, 다주택자나 9억원 초과~12억원 이하는 4%에서 2%로, 12억원 초과는 4%에서 3%로 각각 인하됐다가 새해부터 원상 복귀했다.

이에 따라 매수세가 썰물처럼 빠졌다는 게 부동산업계의 설명이다. 부동산114는 1월 첫째주 서울의 아파트값이 0.02% 하락하는 등 2011년 2월 이후 22개월째 내리막길을 치닫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취득세 감면 연장을 약속했고, 집권 여당인 새누리당도 이를 추진하기로 해 1월 임시국회에서 관련법 개정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민주통합당도 문재인 후보의 공약이었던 취득세 감면 연장 조처에 반대할 명분이 없어, 여야 합의로 빠르게 처리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주택 수요자로서는 취득세 감면의 연장 시점, 소급적용 여부 등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섣불리 거래에 나설 수 없는 처지다. 이후 국회에서 확정되는 내용을 지켜본 뒤에 거래하는 편이 안전하기 때문이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거래의 불씨를 완전히 꺼트리면 감면 혜택을 재개해도 되살리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인수위에서 취득세 문제를 우선 검토해 소급 적용 여부를 확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전했다.

한편, 거래 공백과 함께 급매물 위주로 거래되며 서울지역 아파트 값은 22개월 연속 추락 중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