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한국인 평균수명이 관심을 모으고 있다.

통계청은 올해로 광복 70주년을 맞이하여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 국민의 삶의 변천을 통계를 통해 재조명해볼 수 있도록 '통계로 본 광복 70년 한국사회의 변화' 책자를 발간했다.

내용을 살펴보면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65.6세로 6.9세 차이가 났다. 2013년에는 남성 수명이 78.5세, 여성 수명이 85.1세로 늘어났고 차이는 6.6세다. 지난 43년간 기대수명은 61.9세에서 2013년 81.9세로 지난 43년간 약 20세 증가했다.

▲ 한국인 평균수명이 20년간 43세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출처/MBC)

한국인의 기대 수명을 미국, 일본, 중국과 비교하면 1970년에는 61.9세로 4개국 중 기대수명이 가장 짧았다. 그러다가 1986년에는 69.1세로 중국을 추월하고 2002년에는 77.0세로 미국마저 앞질렀다.

이처럼 한국인 평균 수명이 주목을 받게 되면서 북한 평균 수명에도 덩달아 관심이 모아졌다.

지난달 29일 (현지시각) 유엔경제사회국(UNDESA)의 '세계 인구 전망 2015개정판'에 따르면 2015년 현재 북한 주민들의 평균 수명이 69.9세로 한국의 81.4세보다 11.5세 낮고 미국보다는 9세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인의 평균수명이 점차 높아져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실제로 자신이 건강하다고 느끼는 한국인이 많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책의 내용을 따르면 포르투갈을 제외한 여타 국가들은 모두 60% 이상이 건강하다고 응답한 반면, 한국인의 경우에는 그 비율이 30%대에 머물러 OECD 국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한국인의 평균 수명이 선진국 수준에 도달할 만큼 늘어났지만 실제 건강 상태에는 매우 불안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