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이란 핵 협상 타결이 카운트다운에 들어간 가운데 사실상 포괄적 협상 시한인 31일(현지시각)까지 잠정 타결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협상은 지난 2003년 이란에 대한 국제사회의 제재가 시작된 이래 12년을 끌어온 이란 핵 문제를 대화와 타협으로 해결해내는 '핵확산 억제사(史)'의 큰 획을 긋는 일대기적 사건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이란 핵문제과 더불어 국제사회의 '2대 난제'로 꼽혀온 북한 핵문제 해결에도 커다란 영향을 미칠 예정이다.

▲ 이란과 미국, 중국, 영국, 독일, 러시아, 프랑스 등 주요 6개국 외무장관은 30일 스위스 로잔에서 전체 회의를 열고 막판 핵협상 타결에 들어갔다.(출처/연합뉴스)

29일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들의 보도를 따르면 이란과 미국, 중국, 영국, 독일, 러시아, 프랑스 등 주요 6개국 외무장관은 30일 스위스 로잔에서 전체 회의를 열고 막판 핵협상 타결에 들어갔다.

그동안 협상이 미국과 이란 양자 회담에서 이견을 좁히고 나서 나머지 5개국과 협의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점을 고려하면 전체회의가 재차 열린 것은 합의에 가까워졌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국제적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남은 쟁점은 이란의 핵 프로그램에 대한 '제한 범위'와 서방의 대(對)이란 경제제재의 '해제 속도'다.

미국이 이란의 핵무기 제조 차단을 위해 요구하고 있는 '우라늄 농축 중단과 희석, 아라크 중수로 설계변경,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원심분리기 감축' 등을 수용하는 문제는 이미 상당한 타협에 이른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는 방법과 시기를 놓고 이견이 여전하다. 이란은 이를 일괄·영구적으로 해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나 미국 등 서방은 핵 활동 중단에 따른 단계적 해제를 주장하고 있다.

특히 제재 해제는 미·이란 정부의 결정 이외에도 미 의회와 EU 회원국들의 동의가 각각 필요하다. 상대방의 요구조건을 섣불리 수용했다가는 '뒤통수'를 맞을지 모른다는 우려 때문에 세부안을 두고 마지막까지 진통이 예상된다.

지식교양 전문채널 - 시선뉴스
www.sisunnews.co.kr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