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심재민 기자 | 장기간 이어진 가뭄 탓에 심각한 물 부족을 겪고 있는 지역이 늘고 있다. 이상 기후로 가뭄은 점차 더 심화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한 대비책 어떤 것들이 있을까? 

지난 3월 19일 기준 국가가뭄정보포털에 따르면 전체 167개 시·군·구 가운데 43개 기초지방자치단체 생활·공업용수 가뭄단계가 '정상'이 아닌 상태다. 생활·공업용수 가뭄단계는 정상부터 '심각'까지 5단계로 현재 심각 바로 아래 단계인 '경계'인 지자체가 15곳이 있는데 모두 호남이다. 

더욱 큰 문제는 가뭄은 기후변화로 더 빈번히, 더 강하게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만큼 정부는 선진국의 가뭄 대책을 참고해 여러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가뭄에 대비한 중장기 수자원 확보책에는 ‘워터그리드’ ‘상수도 현대화’ ‘대체 수자원(해수 담수화 등)’ ‘신규 댐 건설’ ‘지하수 저류지’ 등이 있다. 

호주에서 참고 한 ‘워터그리드’는 댐, 하천, 상수도, 저수지 등 수원을 연계해 물이 풍족한 지역에서 물이 부족한 지역으로 물이 오고 갈 수 있도록 물 관리를 하는 방법이다. 호주는 국토의 90% 이상이 주기적으로 물 부족을 겪는다. 특히 해안과 내륙지역 간 수자원 격차가 심하다. 그래서 이 워터그리드를 통해 효율적으로 물을 관리하고 있다. 호주 정부는 2004∼2007년 동남부 지역 가뭄을 계기로 골드코스트 해안부터 브리즈번 안쪽 내륙지방까지 약 535㎞에 달하는 워터그리드를 건설해 ‘풍족한’ 해안에서 ‘부족한’ 내륙으로 공급한다. 

우리나라도 이 방식을 도입했다. 지난 2015년 충남 지역에 심각한 가뭄이 발생했을 당시 구축한 보령댐 도수로가 워터그리드의 대표적 사례로, 보령댐 용수를 확보하기 위한 대책으로 댐 상류와 금강을 도수로로 연결해 물을 공급했다.

‘대체수자원’ 역시 여러 선진국에서 활용하는 가뭄 대책이다. 대체수자원 대책에는 ‘해수담수화’ ‘하수 처리수 재이용’ ‘발전소 등에서 사용하는 냉각수(온배수) 재이용’ 등이 있다. 이 중 ‘해수담수화’에 대한 기술개발과 도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해수담수화는 풍부한 자원인 바닷물에서 염분 등 용해 물질을 제거해 담수(민물)로 만드는 기술이다. 특히 해수담수화는 바다와 가까운 산업단지의 공업용수 확보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해수담수화의 대표적인 사례는 충남 서산시이다. 수시로 물 부족을 겪던 대산임해산업지역은 2020년부터 국내 최대 규모 해수 담수화 시설을 짓고 나서 상당부분 개선되었다. 이를 참고해 한국수자원공사에서 2024년을 목표로 공사가 진행 중이며, 완공되면 하루에 10만 t의 용수를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해수담수화는 이동식 선박으로도 구현이 가능해 자유롭게 옮겨 다니며 물부족을 해소할 수도 있다. 실제로 지난 지난해 2월 진수된 ‘드림즈호’는 작년 말과 올해 초 전남 여수시 대두라도와 완도군 소안도에 담수를 공급하는 실증 운영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드림즈호는 담수를 하루 300t(톤) 이상까지 생산할 수 있으며 수질은 생활용수 기준에 맞춰져 바로 마셔도 문제가 없다. 해수담수화 선박은 가뭄 대응책뿐 아니라 수출상품으로도 기대도 큰 상황이다.

일본 후쿠오카의 ‘하수 처리수 재이용’ 방식도 참고할 만하다. 이는 버려지는 하수를 정화해 용수로 다시 이용하는 것으로, 식수로 쓸 순 없지만 조경수, 공업용수 등 쓰임별로 목표 수질을 정해 정화 처리한 후 활용한다.

산업용수 부족에 대비해서는 ‘온배수’ 재이용도 고려해 볼 수 있다. 발전소나 공장의 생산 공정에서 발생한 열을 식힌 후 바다에 배출하는 냉각수를 온배수라고 하는데, 고스란히 버려지는 막대한 양의 이 물을 정수한 후 재이용하는 것이다. 해마다 버려지는 온배수는 연간 약 9억1000만 ㎥(2019년 기준)로 추정되는 만큼 어마어마하다. 따라서 법 개정을 통해 일반 산업공정에서 나오는 온배수도 재이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현행법에선 발전소에서 나오는 온배수만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노후 상수도관을 교체하고 개량하는 등 ‘상수도 현대화’로 용수 전달 과정에서 발생하는 누수를 막고, 지하수가 흐르는 길에 벽을 만들어 지하수를 모으는 ‘지하수 저류지’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가뭄 대책이 활용되고 있다.

매년 심화하는 이상 기후로 많은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특히 가뭄으로 인해 농업과 산업 활동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물론 식수 부족까지 예견되고 있는 상황. 많은 연구는 물론 환경보호를 통해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