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리디스크는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정도로 흔한 척추질환이다. 허리디스크는 정식 명칭은 요추 추간판탈출증이며, 주로 장년층 이상에게 발병하지만 지금은 환자의 연령대가 점점 낮아지는 추세다. 

어릴 때부터 잘못된 자세로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 척추 건강이 더욱 빠르게 악화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젊은 환자들은 자신의 건강 상태에 자신감을 가진 채 허리통증이 이어져도 대수롭지 않게 넘기기 일쑤다. 하지만 그대로 방치하다가는 허리통증이 매우 심해져 일상 생활이 어려워질 수 있어 초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목동 뽀빠이통증의학과 이영주 원장

그렇다면 허리디스크는 어떻게 발병하는 것일까? 척추는 여러 개의 작은 척추뼈들이 모인 구조로, 각 뼈 사이에는 뼈가 직접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해 디스크, 즉 추간판이라는 조직이 있다. 이 조직은 젤리처럼 탄력 있어 척추에 가하는 힘과 충격을 분산시켜 척추를 보호하는 쿠션 역할을 한다. 그런데 유전이나 노화, 갑작스러운 사고, 운동 부족, 바르지 못한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해 디스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면 디스크가 손상되거나 제 자리에서 밀려난다. 이처럼 디스크가 튀어나와 허리를 지나는 신경을 누르는 상태를 허리디스크라 한다. 

허리디스크에 의한 허리통증은 대개 서 있을 때보다 앉아 있을 때 심해지며 허리를 숙이거나 누운 채 다리를 들어 올릴 때 더욱 강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앉아 있는 자세는 서 있는 자세에 비해 허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두 배 이상 강하기 때문에 오래 앉아 생활하는 직종, 예컨대 사무직이라면 허리디스크에 더욱 취약하다. 게다가 요즘에는 모니터나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고개까지 숙인 채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는 경우가 많아 더욱 문제다. 

애석하게도 한 번 추간판이 손상되면 이를 본래의 상태로 되돌리기 어렵다. 단, 환자 개개인의 증상에 맞는 비수술 치료를 시행하며 생활습관을 바로 잡는 등 다각도의 노력이 동반되면 통증에 시달리지 않고 일상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 대부분의 허리디스크 환자는 약물치료나 주사 치료, 도수치료 같은 보존적 치료로 통증을 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요법을 시행해도 통증이 심하다면 신경차단치료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C-arm을 통해 모니터로 병변 부위를 확인하면서 신경의 압박을 개선하며 비정상적인 신경 기능을 정상으로 회복시켜 통증을 없애는 치료다. 이러한 치료를 진행하면서 체중을 감량하고 꾸준히 운동을 하여 허리 근육을 강화하면 수술 없이도 충분히 허리디스크로 인한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도움말 : 목동 뽀빠이통증의학과 이영주 원장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