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은 하중을 많이 받고, 걷고 뛰고 구부리는 등 움직임이 많은 부위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자연스럽게 노화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데 뼈와 뼈 사이 완충 역할을 하는 연골 손상을 ‘퇴행성 관절염’이라고 부른다. 주로 50~60대 이상에서 발병하는 퇴행성질환에 해당하지만, 최근에는 관절 사용량이 많은 40대 미만의 발병률도 높은 편에 속한다.

퇴행성 관절염은 발병시기가 빠를수록 무릎 주변의 연부조직이나 연골판 등도 빠르게 악화해 무릎 인공관절수술까지 받게 될 가능성이 높아 빠른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무릎 관절염 초기에는 무릎 위아래 근육과 인대에서부터 통증이 시작된다. 무릎이 붓고, 걷거나 뛰고 구부릴 때 통증이 발생한다. 아팠다 안 아팠다를 반복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호전돼 방치되는 경우가 많다.

관절염 중기에는 관절의 가장자리 뼈가 불규칙하게 변형된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버스에서 내릴 때, 무릎을 구부렸다 필 때, 양반다리를 할 때 등 특정 동작에서 통증이 악화한다. 마치 연골이 게살처럼 일어나며 떨어져 나가기 때문에 관절 내부를 돌아다니며 자극하고, 염증이 더욱 악화돼 통증이 극심해지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시기다.

무릎 관절염 말기에는 염증으로 인한 연골 손상이 심하고, 연골 자체도 거의 닳아 없어진 상태에 이른다. 특히, 다리가 O자 혹은 X자로 변형돼 휘어지기 때문에 가만히 있어도 극심한 통증으로 일상생활이 힘들어진다. 가볍게 걷는 활동조차 어려워 삶의 질이 떨어진다고 우울함을 호소하는 환자들도 많아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다만, 관절염 말기에는 보존적 치료보단 무릎 인공관절수술과 같은 치료방식이 고려할 수 있다.

무릎 관절염은 초기/중기/말기 단계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초기에는 염증을 완화하고, 추가적인 연골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존적 치료를 진행한다. 스테로이드나 PRP 주사, 프롤로 등을 진행하며, 연골 손상과 퇴행 정도에 따라 여러 주사치료나 물리치료 등을 병행하기도 한다.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개선이 없거나 관절염 말기에는 무릎 인공관절수술이 필요하다. 인공관절 수술 시에는 무릎부터 발목을 잇는 위아래 뼈의 정렬과 삽입 위치, 그리고 개개인의 관절에 맞는 인공관절이 중요하므로, 개인별 맞춤수술을 진행하는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그러나 무엇보다 관절염은 방치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많은 사람들이 무릎관절염을 단순한 통증쯤으로 여기고 방치하지만 관절염은 초기, 중기, 말기 중 어느 시기에 치료하느냐에 따라 수술 없이도 호전이 가능한 만큼 방치하지 않을 것을 권장한다.

글: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