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 / 이미지 서치 임하은 수습] 바야흐로 우주개발 시대로, 세계 각국이 우주 개발을 선도하기 위해 다양한 투자 및 육성, 개발을 이어가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로 어떤 올해 어떤 노력이 이어질까?

먼저, 미국의 테슬라 등 민간개발이 뜨겁게 진행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도 민간 기업이 우주 개발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는 '뉴 스페이스' 시대를 맞아 국내 민간 기업의 우주 산업 관련 역량을 키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위성, 발사체 등 국방분야 선도기술에 대한 민군 협력 강화를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대전 국방과학연구소(국과연)를 방문해 산업부와 국과연, 방위사업청 간의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국과연은 민군기술협력사업 전담기구로, 1999년부터 민군기술협력 및 상호 기술 이전을 위해 산업부와 협력을 추진해왔다. 국과연은 민간 주도 우주산업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발전협의회에도 참여해 산업부의 우주산업 소부장 발전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우주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우리가 만든 ‘소부장’를 활용해 제작한 위성이 국산 발사체로 발사·실증될 수 있는 선순환 산업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때문에 관련 기관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한데, 이번 정부와 민군 기술협력이 우주개발에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이들 협의체는 국내 우주기술 확산기 진입 촉진 및 우주 시장의 급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 중 '우주분야 소부장 발전전략'도 발표할 계획이다. 이 전략에는 우주 분야 소부장 발전 전략 및 생태계 조성 방안이 담길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 방위사업청, 국과연이 국방분야의 우주 개발을 적극적으로 추진해 우주산업의 마중물 역할을 하고 여기에 국내 산업발전을 견인해온 산업부의 역할이 긴밀하게 융합된다면 우주산업을 성공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음, 우주 개발의 핵심인 로켓 발사 기술의 자력을 키우는 노력도 이어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달 착륙선 등 대형 우주 프로젝트를 자력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추력 100t급 액체 로켓 엔진의 기초 연구 개발을 시작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2 스페이스 챌린지 사업' 추진을 확정하고 사업 공고를 진행한다.

올해 스페이스 챌린지 사업은 신규 추진되는 '미래 핵심 기술 선점 사업'과 지난 2020년부터 진행 중인 '학제 간 창의 융합 사업'으로 구성됐다. 미래 핵심 기술 선점 사업의 목표는 차세대 우주 발사체 개발의 기반이 되는 추력 100t급 고성능 액체로켓 엔진의 설계·제작기술·핵심 구성품 개발 등 선행 기술 개발이다.

지난해 10월 1차 발사된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KSLV-II)에는 추력 75t급 액체 로켓 엔진이 사용됐으나, 2030년 달 착륙선 발사, 2035년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등 예정된 대형 우주 수송 사업을 국내 기술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이보다 훨씬 더 성능이 뛰어난 엔진을 개발해야 한다. 과기정통부는 미래 핵심 기술 선점 사업을 통해 선행 개발한 기술을 차세대 우주 발사체 사업과 연계해 누리호 후속 발사체 발사에 필요한 엔진 기술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투자도 대거 이루어진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주도할 100t급 액체 로켓 엔진 선행 개발에는 올해 45억원, 내년 75억원 등 총 120억원이 투입된다. 그리고 학제 간 창의 융합 사업은 우주 분야 융합 연구와 협력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해 진행된다. 

민간개발과 자체 발사 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계획들이 잘 추진되어 2030년 이후 미래 우주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가 안착되기를 바란다. 또한 도전적이고 혁신적인 연구와 고성능 액체 로켓 엔진 선행 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