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조재휘] 내년 2월 개최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영미권에서 외교적 보이콧이 확산하고 있다. 올림픽 외교적 보이콧은 선수단도 보내지 않는 전면 보이콧과는 달리 선수단은 파견하되 개·폐회식 등 행사 때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한국 정부는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 가운데 외교적 보이콧에 동참한 나라는 어디인지 알아보자. 

첫 번째, 중국의 인권 탄압을 문제 삼은 ‘미국’ 

[사진/워싱턴 EPA=연합뉴스 제공]
베이징올림픽 외교적 보이콧 방침 밝히는 미 백악관 대변인 [사진/워싱턴 EPA=연합뉴스 제공]

미국 정부가 중국의 인권 탄압을 문제 삼아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방침을 공식화했다. 젠 사키 백악관 대변인은 현지시간으로 지난 6일 브리핑에서 바이든 정부는 신장에서 중국의 지속적인 종족 학살과 반인도적 범죄, 기타 인권 유린을 감안해 어떤 외교적, 공식적 대표단도 베이징 올림픽과 패럴림픽에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미국 의회에서도 중국 신장 지구의 위구르 소수민족 탄압, 홍콩의 인권 탄압 등을 문제 삼아 베이징 올림픽을 보이콧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사키 대변인은 사절단을 보내지 않는 것은 미국이 평상시와 다를 바 없이 행동할 수 없다는 메시지를 중국에 보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선수단을 파견키로 한 데 대해서는 선수들에게 불이익을 주는 것은 옳은 조처가 아니라고 전했다.

두 번째, 많은 요인 중 코로나19 관련 문제가 큰 ‘뉴질랜드’ 

[사진/Pixabay]
[사진/Pixabay]

미국에 이어 뉴질랜드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기로 결정했다. 그랜트 로버트슨 부총리 겸 체육부 장관은 뉴질랜드도 외교적 수준에서는 올림픽에 불참할 것이라고 지난 7일 기자들에게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장관급 대표단을 보내지 않는다는 방침을 정하고 지난 10월 중국 측에도 우리의 입장을 전달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로버트슨 부총리는 정부 대표단을 보내지 않기로 한 결정은 미국이 문제 삼고 있는 인권 문제보다는 여러 가지 안전 문제에 더 큰 초점이 모여 있다고 밝혔다.

그는 많은 요인 중에서도 코로나19와 관련된 것이 가장 크다며 미국의 외교적 보이콧과는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인권 문제에 대해서는 여러 차례 중국 측에 분명히 우려를 전달했다고 강조했다. 최근에도 우리 총리가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에게 그런 입장을 전달한 바 있다며 그들은 인권 문제에 대한 우리의 입장을 잘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세 번째, 제기한 문제에 반응 없다며 동참한 ‘호주’ 

[사진/Flickr]
[사진/Flickr]

호주도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대한 외교적 보이콧 행렬에 동참한다는 의사를 전했다.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는 현지시간으로 지난 8일 베이징올림픽에 호주가 정부 사절단을 보내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모리슨 총리는 그간 중국 정부가 신장 위구르 지역 인권 탄압과 호주에 대한 무역 보복 등 호주가 제기한 여러 문제에 응답하려는 시도를 한 적이 없다며 이번 결정의 배경을 설명했다.

중국은 호주의 최대 수출국일 정도로 양국은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였다. 하지만 호주가 미국 주도 아래 중국 기업 화웨이 제재에 동참하고, 코로나19 발원지에 대한 조사를 요구해 관계가 틀어졌다. 중국은 호주산 석탄과 바닷가재, 와인 등의 수입을 막아 보복했고, 호주는 9월 미국, 영국과 함께 중국의 안보 위협에 대응하는 오커스 동맹을 출범하며 맞섰다. 이 소식을 접한 중국은 호주에 연일 비판을 쏟는 등 대치 양상이 이어졌다.

미국과 호주 등의 국가들이 잇따라 보이콧을 선언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보이콧을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확실하게 밝힌 문 대통령. 한중관계의 중요성을 고려하면 한국이 선제적으로 보이콧 동참을 검토할 필요는 없다는 것이 문 대통령의 판단인 것으로 풀이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