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조재휘] 차 조수석이나 대중교통을 타기만 하면 졸음이 쏟아지는 경험이 한번쯤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정작 본인이 운전을 할 때는 졸리는 현상이 덜하다. 아무리 푹 자고 와도 유독 차만 타면 졸리는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

차를 타면 잠이 오는 이유는 멀미와 비슷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 뇌는 차의 지속적인 위치 이동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평형감각이 흐트러지는 것을 막기 위해 감각 정보를 적절히 무시하며 혼란을 피하려고 한다.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정보와 귓속의 평형기관이 체감하는 정보에 불일치가 생기기 때문이다.

차에서 책을 보면 불일치가 더 심해지고 어지럽게 된다. 우리 뇌는 이 과정에서 다른 감각기관까지 같이 끄게 되고 뇌의 방어기제로 졸임이 몰려오는 것이다. 그래서 멀미를 할 때 잠을 자면 멀미가 조금 덜해진다.

다른 이유 중 하나는 바로 진동에 관한 것이다. 일본철도기술연구소의 조사결과 지하철의 진동수는 2Hz 정도며 2Hz는 사람이 가장 잠들기 쉬운 진동수에 해당한다. 버스나 지하철 등도 비슷한 진동수를 보이며 일정한 진동이 가해져 졸리게 되는 것이다. 이는 엄마들이 아이를 재울 때 안아서 흔들어 주면 아이가 더 잘 자는 것과 비슷하다. 

불편한 자세로 오랜 시간 있어야 하는 것도 졸리는 이유가 될 수 있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는 아무래도 불편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자세가 불편하면 몸은 금방 지치게 되고 피로하게 만들어 잠이 부족하지 않더라도 졸음이 오게 만들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는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며 뇌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줄어들면서 뇌가 활동을 활발히 하지 못해 졸리게 되는 것이다. 버스나 지하철, 자가용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는 이산화탄소가 많으며 특히 대중교통은 한정된 공간을 많은 사람이 이용하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보통 이산화탄소 농도가 2,000ppm만 넘어도 졸음이 올 수 있고 5,000ppm을 초과하면 산소결핍증이 발생해 뇌 손상에 이르게 될 수 있다는 미국산업위생협회의 연구결과도 있다. 승객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에는 이산화탄소 농도가 빠르게 높아진다. 

실제로 밀폐된 차량에서 얼마나 이산화탄소 농도가 빨리 올라가는지 실험을 해본 결과 절반가량의 사람을 태우고 주행 중인 고속버스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10분 만에 1,000ppm을 넘었고, 50분이 지나자 약 5,000ppm까지 빠르게 상승했다. 이러한 결과는 승용차에서도 마찬가지로 이산화탄소 농도가 빠르게 상승했다.

차를 타고 가다 졸릴 때는 적절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15분~20분마다 외기버튼을 눌러주거나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주면 된다. 차만 타면 졸리는 이유가 다양하게 있으니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지 말고 운전을 하다 졸음이 온다면 졸음을 참지 말고 잠시 졸음 쉼터 등에서 꼭 쉬었다 갈 수 있도록 하자.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