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심재민] 일제강점기 당시 수탈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마지막 협궤철도를 표준궤도인 광역철도로 개량하는 수인선 사업이 완료되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수원역과 인천역을 잇는 수원∼인천 복선전철(수인선) 공사 구간 중 마지막 미개통 구간인 수원∼한대역 구간이 지난 12일 정식 개통했다. 총사업비 2조74억원이 투입된 이 사업으로 25년 전 폐선으로 운행을 멈췄던 수인선이 광역철도로 거듭나 다시 수원과 인천을 달리게 되었다.

협궤철도는 철로 사이 폭, 즉 궤도 간격이 표준궤간(1,435mm)보다 좁은 철도를 말한다. 소형 기관차나 차량을 사용하여 운용되는 철도로, 일반적으로 건설투자비, 운행비, 보수비 등이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열차의 운행속도가 낮고, 안전도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불리하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사진/ 픽사베이]
[사진/ 픽사베이]

과거 협궤철도는 교통량이 적은 지방철도로 사용되었으나, 자동차 교통의 발달에 의해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한국의 협궤철도는 일제강점기 당시 비용 문제로 일부 노선에 깔렸다. 일본에서 사용하는 궤간 1067mm협궤를 경성궤도, 함평궤도, 서울전차, 부산전차 등 사철로 운행한 것. 수원과 인천의 송도역을 잇는 ‘수인선’과 수원 여주 간을 있는 ‘수려선’이 대표적 협궤철도로, 수인선은 경제성이 낮아져 1995년 12월 31일 영업이 중단되었고, 수려선은 1972년 3월 31일 폐선되었다. 그 외에도 한반도의 일부 사설 철도가 협궤였지만 지금은 모조리 폐선된 상태다.

우리의 문화재를 약탈하는 등 일제 때 수탈의 상징으로 여겨지기도 했던 협궤철도. 마지막 협궤철도를 표준궤도인 광역철도로 개량하는 수인선 사업은 1995년 7월부터 기본계획 및 설계용역을 거쳐, 2004년 12월 1단계 구간 공사를 시작했으며 총 3단계로 나눠 진행됐다. 그 후 오이도∼송도를 잇는 1단계 구간 13.1㎞는 2012년 6월 가장 먼저 개통됐고, 2016년 2월 개통한 2단계 구간은 인천에서 송도를 거쳐 오이도역까지 총 20.7㎞ 구간이다. 이어 수원∼한대앞 19.9㎞ 구간이 마지막으로 개통되며 기존 협궤노선 폐선(1995년 12월) 이후 25년 만에 처음으로 수원과 인천이 하나의 철도로 연결된다.

이처럼 남아 있던 협궤철도를 없애는 수인선 사업을 통해 3단계로 개통한 수인선은 분당선(수원∼분당∼왕십리·청량리)과 직결해 전철이 운행된다. 수인선-분당선 직결 시 운행 거리는 108㎞에 달해 수도권 전철 노선 중 3번째로 긴 노선이 탄생하게 되었다. 수인선-분당선은 6칸 전동열차를 운행하며 직결 운행 횟수는 평일 96회(상·하행 각 48회), 휴일 70회(상·하행 각 35회), 영업시간은 수원역 하행 기준으로 오전 5시 36분∼익일 오전 0시 17분까지다. 참고로 출·퇴근 시에는 평균 20분, 그 외 시간대는 평균 2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사용도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역사의 아픔이 담겨있던 협궤철도를 없앤 수인선 사업은 교통 편의성 증대라는 효과까지 불러왔다. 수인선이 전 구간 개통되면 인천 및 경기 서남부지역(시흥·안산·화성·수원)에서 경기 동부지역(용인·성남 등) 간 이동이 편리해지고, 주요 거점 역인 수원역(KTX·경부선 일반철도·1호선·분당선 이용 가능)으로 이동하는 거리와 시간이 모두 단축된다. 이로 인해 현재 1호선을 이용해 인천에서 수원으로 갈 경우 90분이 걸리지만, 수인선을 이용하면 이동 시간이 70분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