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기에 갑자기 멸종된 것으로 알려진 공룡. 그들의 멸종 이유에 대해 무수한 가설들이 있지만 그 중 가장 유력한 설은 ‘소행성 충돌설’이다. 그리고 이를 뒷받침해줄 만 한 결과가 나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일본 오사카대 데라다 겐타로 교수팀은 22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에서 달궤도 탐사선 '가구야'의 관측자료 이용해 달에 있는 대형 소행성 충돌구 59개를 분석한 결과 8개가 동시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가구야(일본 전래동화 속 달나라 공주의 이름)는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가 2007년에 발사한 일본의 첫 달 탐사선으로 정식 명칭은 '셀레네'(SELENE : Selenological and Engineering Explorer)다. 

MurayamaOsaka Univ. 제공

연구팀은 가구야에 탑재된 지형카메라(TC)를 이용해 직경 20㎞ 이상인 충돌구 59개의 생성 연대를 조사했다. 지구에서는 지표면 침식과 지각활동 등으로 소행성 충돌 흔적을 연구하고 생성연대를 밝혀내는 게 어려워 대안으로 풍화작용과 침식이 거의 없는 달의 충돌구를 택한 것이다. 이들은 가구야가 촬영한 달 표면의 대형 충돌구들와 충돌 때 튕겨 나간 물질들에 의해 만들어진 주변의 0.1~1㎞ 크기 충돌구 분포 등을 정밀 분석해 소행성 충돌 연대를 추정했다.

그 결과 분석대상 충돌구 59개 가운데 '폭풍의 바다'(Ocean of Storms) 근처에 있는 지름 93㎞의 '코페르니쿠스 크레이터'(Copernicus crater) 등 8개가 약 8억년 전 동시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충돌 시기는 과거 아폴로 임무 때 코페르니쿠스 크레이터 근처에서 채집해온 유리질 입자 표본을 방사성동위원소 연대측정법으로 분석해 밝혀냈다.

연구진은 지구에도 엄청난 양의 소행성이 떨어졌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이때 만들어진 충돌구는 풍화·침식과 지각변동 등으로 확인이 불가능한 상태다.

또한 연구진은 이 시기에 달과 지구에 떨어진 소행성들의 총 질량이 6천500만년 전 멕시코 인근에 충돌해 칙술루브 충돌구를 남긴 소행성보다 30~60배 정도 큰 40조~50조t에 이를 것으로 추정했다. 

코페르니쿠스 크레이터 부근 작은 충돌구 분포(오사카대 제공)

한편 소행성 충돌로  공룡이 멸종하게 됐다는 주장은 이렇다. 소행성 충돌로 인한 막대한 열기는 엄청난 수증기를 뿜어내게 되었고 이는 구름이 되어 하늘을 덮었다. 이때 만들어진 구름은 소행성 충돌로 발생한 뜨거운 열을 지구 밖으로 배출하지 못하게 막아 지구는 엄청나게 뜨거워졌고 이 상태가 몇 십 년 동안 지속된 후 구름이 어느 정도 식게 되면 강한 산성비가 되어 지면에 쏟아지게 된다.

불안정했던 지각은 이 충돌에 의해 자극을 받아 폭발을 하고 이로 인해 엄청난 양의 유황성분이 분출된다. 이 성분과 충돌 후 여전히 공기 중에 남아있던 먼지들은 햇빛을 몇 십 년 동안 차단하게 되었고 지구는 급속도로 냉각되어 혹한을 맞이하게 된다. 또한 햇빛이 차단되다 보니 광합성을 필요로 하는 플랑크톤과 식물 등이 사라지게 된 것이다. 

SNS 기사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