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뉴스 조재휘 / 디자인 최지민]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와 피해 할머니들이 거주하는 '나눔의 집' 등에서 불거진 후원금 유용 논란 소식에 기부를 하던 시민들도 후원을 중단해야 할지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아 졌다.

최근 나눔의 집을 상대로 한 집단 후원금 반환 소송이 제기되었으며 지난 4일 '위안부 할머니 기부금 및 후원금 반환소송대책 모임'은 나눔의 집을 운영하는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 나눔의 집'에 대해 후원금을 반환해 달라는 소장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출했다.

‘나눔의 집’은 태평양전쟁 말기, 일제에 의해 성적 희생을 강요당했던 생존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이 모여 살고 있는 삶의 터전이다.

1992년 6월 결성된 나눔의 집 건립추진위원회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삶의 터전을 마련해 주자는 취지로 모금 운동을 벌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그해 10월 서울 마포구 서교동에서 처음으로 나눔의 집 개소식이 열렸고, 이후 명륜동과 혜화동을 거쳐 1995년 12월 경기도 광주군 퇴촌면 소재에 노인 주거복지시설을 신축했다.

현재는 1,800평 부지에 생활관 120평, 역사관 104평, 교육과수련관 60평, 사무동 15평, 집중치료동 60평 총 359평의 건물이 있다. 나눔의 집에는 1988년 설립된 세계 최초의 성노예 테마 인권박물관인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도 소재하고 있다.

나눔의 집에 거주하는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은 매주 한글수업과 그림 수업을 통해 익힌 그림으로 수차례에 걸쳐 내외에서 그림 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과거 일제의 위안부 만행에 대한 진실을 알리는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매주 수요일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서 주관하는 일본대사관 앞에서의 시위를 통해 일제의 일본군 위안부 만행을 폭로하고 일본이 과거사에 대하여 진정으로 참회하도록 압력을 가하고 있다.

나눔의 집은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 여성 인권과 평화를 향한 발걸음을 하고 있는 위안부 할머니들의 쉼터이지만 나눔의 집에 전달된 후원금이 한 번도 할머니들을 위해 쓰인 적이 없다는 주장이 제기되며 현재 논란이 계속 일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나눔의 집 후원금은 2018년 18억원, 지난해 25억원이었이며 지난해는 6천여명이 후원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나눔의 집 직원들이 시설의 불공정 운영 의혹을 제기하며 2020년 5월 초순부터 할머니들의 생활관을 차단한 채 시설 관계자와 대치하고 있으며 후원금 반환 소송을 제기했다. '위안부 할머니 기부금 및 후원금 반환소송대책 모임'의 법률 대리를 맡은 변호사는 할머니들을 위해 후원금을 사용하지 않는 건 후원자들에 대한 기망이며 배신이라는 법리적 판단에 따라 소송에 나선 이유를 밝혔다.

위안부 할머니들의 피해에 대한 외침은 현재까지도 이어지고 있지만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돈벌이 수단으로 이용한 것이 국민들을 분노케 했다. ‘나눔의 집’ 후원금 논란을 계기로 기부금이나 후원금 모금 활동의 투명성을 강화해 정작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이 도움을 받지 못하는 불상사가 발생하지 않길 기대해본다.

SNS 기사보내기